소비자물가상승률추이(출처=통계청)
소비자물가상승률추이(출처=통계청)

[뉴스로드] 8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사상 처음으로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이런 상황이 부동산 가격에 미칠 영향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경제가 디플레이션 상황에 접어들면서 부동산 등 자산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불안감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며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다. 1992년~2016년간 일본의 주택가격은 53% 하락했다.

정부는 현 상황이 디플레이션이 아니라며 선을 긋고 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일본의 경우 부동산, 주식 등 자산 시장에서 과도한 버블이 있었는데 한국은 이같은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자산시장의 붕괴가 나타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반박했다.

<뉴스로드>는 디플레 우려 상황이 부동산 가격에 미칠 영향에 대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살펴봤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전문위원은 파이낸셜뉴스와의 통화에서 “현재 서울을 중심으로 쏠림 현상이 발생하면서 집값이 뛰고 있지 지방에는 거품이 끼지 않았다. 그러나 부동산은 경제 펀더멘털의 거울이라 경제가 활력을 잃으면 부동산도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권대중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파이낸셜뉴스와의 통화에서 “부동산 거래가 안되면서 전월세가격이 하락하고 기준금리가 인상될 경우 자산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9억원 이상 고가 아파트들이 거래되고 전월세가격이 강보합세를 보이며 기준금리 역시 인상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당장 자산 디플레이션 가능성은 없다”라고 분석했다.

이어 "자산디플레이션의 전조증상은 깡통전세와 깡통아파트 증가다. 정부가 대출규제 강화로 유동성이 떨어지면 현금동원 능력이 없는 부동산 보유자들은 파산 가능성이 있다. 또한 대외변수로 유동성 자금이 확보되지 않는 기업들이 부동산 매각에 나서면 주거형 부동산에도 영향이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조선비즈와 통화에서 “디플레이션에 따른 경기 침체가 본격화하면 집값은 당연히 안 오른다. 경제가 안 좋으면 부동산 시장도 마이너스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정부가 경기침체를 막기 위해 양적완화를 시행한다면 지역별로 부동산 시장이 다르게 움직일 수 있다. 유럽 일부 국가처럼 투자가 대도시 위주로 몰려, 대도시와 중소도시 간 간극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태섭 주택산업연구원 실장은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일반적으로 디플레이션이 현실화되는 등 경기가 더 악화되면 주택경기가 침체되는 건 당연하다. 하지만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로 집값과 전세값이 모두 상승세를 보이는 것처럼, 정부의 추가 규제 등 인위적인 변수가 작용할 경우엔 풍선효과 등으로 일반적인 상황을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불안한 경제상황 속에서 현재 시장에 풀려있는 풍부한 유동자금이 다시 부동산 시장으로 집중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송인호 KDI경제전략연구부장은 해럴드경제와의 통화에서 “단기적으로는 집값에 영향이 없을 것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하락할 수 있다. 디플레이션은 국민 전반의 소비 심리를 대변하는 평균적 지표이며, 1~2년만 지속돼도 주택시장에까지 전이될 수 있다. 일반적인 경기를 거슬러서 집값만 나홀로 성장한 경우는 없다. 서울은 다주택자 보유율이 월등히 높고, 소득 등 근거가 뒷받침되지 않은 채 이유 없이 그냥 오른 유동성 장세다. 디플레이션이 집값 하락을 야기하고, 이것이 다시 경기 침체를 더욱 심화시키는 뇌관이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