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 (사진=연합뉴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 (사진=연합뉴스)

[뉴스로드]  잇단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화재 사고를 두고 정부 당국의 안이한 대처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당초 정부는 ESS 화재와 관련해 민관합동 사고조사위원회를 꾸려 진상조사에 나선 결과, 특정 시기에 생산한 LG화학의 제품에 문제가 있다는 결론을 내고도 후속 대책에는 소홀했다. 

6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훈 의원이 밝힌 자료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발생한 ESS 화재 사고는 총 26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LG화학 배터리의 화재사고 건수는 총 14건으로 전체의 54%를 차지했다.

이 의원은 LG화학 배터리 화재와 관련된 제품이 모두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LG화학 중국 남경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 물량이라고 판단했다. 실제로 2018년 이후 생산된 제품의 경우 단 한 번도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최초 발화지점 조사 결과와 민관합동조사위의 결과는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및 배터리 보호시스템을 꼽았다. 하지만 정부는 조사결과 발표에서 화재원인을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주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식으로 발표해 배터리 제조사인 LG화학에 면죄부를 줬다. 실제로 LG화학 등 ESS배터리 제조사들은 사고 책임을 알 수 없다며  피해 보상을 소홀히 했다. 

이훈 의원은 “정부의 합동조사결과 발표는 배터리 결함으로 집중돼 결과를 올바르게 전달하지 않았다. 산업부의 어정쩡한 사고조사 발표가 일을 키우는 도화선으로 작동했다”고 비판했다. 

이훈 의원은 자체 조사과정에서 LG화학에게 2017년에 생산된 ESS배터리에 대해 자발적 리콜을 요청했지만 LG화학은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