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로 손상된 지폐. 사진=한국은행
화재로 손상된 지폐. 사진=한국은행

[뉴스로드] 지난해 불에 타거나 찢어져서 쓰지 못하게 된 화폐가 2009년 이후 최대 수준인 6억4000만장으로 집계됐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중 손상화폐 폐기 및 교환 규모’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행이 폐기한 손상화폐는 6억4000만장으로 전년 대비 1000만장(2.2%) 늘어났다. 폐기된 액수는 4조3540억원으로 지난해(4조2613억원)보다 927억원(2.2%) 증가했다.

폐기된 손상화폐 대부분은 지폐(은행권)였다. 지난해 폐기된 화폐 6억4000만장 중 은행권은 6억1000만장(4조3516억원)으로 5톤 트럭 기준 114대 분량에 달한다. 낱장으로 쌓을 경우 높이는 65.2km로 롯데월드타워 높이의 117배, 백두산의 24배, 에베레스트산의 7배 수준에 해당한다. 

권종별로는 만원권이 3억3000만장(폐기은행권의 53.5%)으로 가장 비중이 컸으며, 그 뒤는 1000원권(2억3000만장, 37.8%), 5000원권(4000만장, 6.7%), 5만원권(1000만장, 2.0%) 등의 순이었다.

주화(동전)은 2590만장(24억원)이 폐기됐다. 화종별로는 10원화가 1110만장(폐기주화의 42.9%)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은 100원화(990만장, 38.2%), 50원화(260만장, 10.1%), 500원화(230만장, 8.8%)의 순이었다. 

손상화폐중 지난해 한국은행 화폐교환 창구를 통해 교환된 것은 3180만장(74억원)으로 전년(2420만장, 56억4000만원) 대비 770만장(17억6000만원) 증가했다. 이 중 은행권은 총 13만4000장(26억2000만원), 주화는 3170만장(47.8억원)이 교환됐다.

자료=한국은행
자료=한국은행

손상화폐 폐기 규모는 지난 2016년 이후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지난해 손상화폐 폐기량 및 폐기액은 2016년 대비 각각 16.4%, 39.8% 증가했다.

이에 따라 손상화폐를 교체하는 비용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2018년 폐기된 약 6억3000만장의 손상화폐를 모두 새 화폐로 대체하려면 약 639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 현금 유통에 따르는 비용 부담이 점차 늘어나면서, ‘현금 없는 사회’에 대한 논의도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은행권이 손상되는 가장 큰 사유는 화재였다. 지난해 화재로 인해 손상을 입고 한은에서 교환된 지폐는 5만1700장(11억5000만원)으로 총 지폐 교환 장수의 38.6%를 차지했다. 장판 밑 눌림이나 습기로 인한 부패 등 잘못 보관한 경우는 6만600장(10억7000만원)이었으며, 세탁기나 세단기에 투입하는 등 취급 부주의로 교환된 경우도 2만1800장(3억9000만원)에 달했다.

한국은행은 불에 탄 지폐도 면적의 3/4 이상이 남아있는 경우 액면금액 전부를 새 지폐로 교환해준다. 다만 남아있는 면적이 2/5 이상∼3/4 미만이면 반액만 새 돈으로 교환할 수 있다. 

손상주화는 모양을 알아보기 어렵거나 진위를 판별하기 곤란한 경우를 제외하면 액면금액으로 교환할 수 있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