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기후변화 위기와 함께 경제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효율과 환경을 함께 고려한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 특히 화석연료 중심의 기존 경제구조에서 탈피해, 탄소의존도를 낮추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획기적으로 높인 저탄소 경제로의 이행을 추구하는 ‘그린 뉴딜’은 더 이상 늦출 수 없는 전지구적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퓰리처상을 수상한 뉴욕타임스(NYT)의 칼럼니스트 토마스 프리드먼이 지난 2007년 처음 사용하기 시작한 용어인 ‘그린 뉴딜’은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과거 대공황을 극복한 뉴딜정책처럼 전 산업에 걸친 장기적 정책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프리드먼은 “석유의존도를 낮추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특효약 같은 건 없다”며 “뉴딜정책은 특효약이 아니라 미국을 되살리기 위한 산업 프로젝트였다. 그린 뉴딜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탄소중독 경제의 체질 개선을 위한 장기 플랜인 만큼 경제의 기반인 ‘에너지’ 인프라를 화석연료에서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은 그린 뉴딜의 핵심이다. 정부 또한 지난 7월 발표한 ‘한국판 뉴딜정책’을 통해 재생에너지 산업생태계를 육성하는 ‘그린에너지’ 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뉴스로드>는 한국판 그린뉴딜의 핵심인 태양광·풍력·수소 등 재생에너지의 글로벌 현황을 돌아보고, 한국은 과연 어디쯤 위치하고 있는지 살펴봤다. 

 

국가별 풍력발전 비중(단위: %). 자료=에너데이터
국가별 풍력발전 비중(단위: %). 자료=에너데이터

◇ 풍력발전, 세계 전력 6% 생산 중

풍력발전은 공기의 흐름을 전력으로 전환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무제한으로 지속이 가능한 발전 방식이다. 재생에너지 중에서도 공해나 폐기물의 발생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위험성이 낮은 데다, 설치 기간 및 비용 면에서 이점이 커 가장 경쟁력 있는 재생에너지 중 하나로 꼽히고 있다.

이러한 장점 때문에 풍력발전에 대한 각국의 선호도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신규 풍력발전기 설치량은 60.4GW로 전년 대비 18% 늘어났다. 누적 설치량은 651GW로 지난 2001년(24GW)에 비해 27배나 증가했다. 

덕분에 전 세계 전력생산에서 풍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중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유럽계 에너지 분야 전문 컨설팅업체인 '에너데이터'(Enerdata)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세계 전력생산에서 풍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6%로 태양력발전(3%)의 두 배였다. 특히 독일, 포르투갈 등에서는 풍력발전 비중이 무려 28.9%로 전체 전력의 3할을 바람의 힘으로 생산하고 있었다. 스페인, 영국, 뉴질랜드 등도 풍력발전 비중이 20%를 넘어선 상태다.

 

자료=키움증권
자료=키움증권

◇ 중국 앞서고 미국 뒤쫓고, 풍력도 패권 다툼

그렇다면 글로벌 풍력발전산업에서 가장 앞서선 국가는 어느 곳일까? 지난해 풍력발전기 신규 설치 5대 시장은 중국·미국·영국·인도·스페인 등으로, 이들이 지난해 신규 설치량의 7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 미국은 나란히 1, 2위를 차지하며 패권다툼을 풍력발전 분야에서도 이어가고 있다. 중국의 지난해 신규 설치량은 26.2GW로 글로벌 신규 설치량의 43.4%를 차지하고 있다. 누적 설치량 또한 236GW로 글로벌 비중이 36.3%에 달한다. 특히 중국 풍력산업은 국가의 적극적인 육성정책 하에 발전하고 있어 외부 자본 및 장비에 대한 의존도가 낮고, 보조금 정책으로 인해 발전 단가 면에서도 경쟁력이 높다. 다만 208년 이후 승인된 풍력발전 프로젝트에 대해서는 보조금 지금이 중단되는 만큼, 향후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

중국의 뒤를 바짝 쫓고 있는 미국은 지난해 기준 신규 설치량 9.1GW, 누적 설치량 105GW로 글로벌 비중이 각각 15.1%, 16.1%에 달한다. 미국 또한 중국의 보조금 정책과 마찬가지로 생산세액공제(Production Tax Credit, 발전량 당 일정 금액의 법인세를 공제하는 것)를 통해 풍력발전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덕분에 풍력발전은 미국 내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재생에너지로 각광받는 추세다. 

특히 기후위기에 배타적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재선에 실패하고 친환경·재생에너지에 우호적인 민주당 후보 조 바이든 전 부통령이 당선될 경우, 미국 풍력발전 시장은 더욱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바이든 후보는 풍력발전기 6만개를 추가 설치해 오는 2035년까지 탄소배출량을 ‘0’으로 만들겠다는 공약을 내세우고 있어, 미중 간 격차가 좁혀질 가능성은 적지 않다.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 원가 절감으로 해상풍력 성장 속도↑ 

풍력발전 또한 연중 바람이 부는 곳을 찾기 어렵고, 전력수요가 있는 곳과의 접근성이 떨어지며 소음이 발생하는 등의 단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한 ‘해상풍력’이 풍력발전의 미래로 각광받고 있다. 

해상풍력의 경우 바람의 세기나 지속성에서 육상풍력보다 유리한 데다, 일조권이나 소음으로 인한 문제도 피해갈 수 있다. 다만 전력수요와의 접근성 및 설치·유지비용의 문제가 있어 아직까지 비중이 높은 편은 아니다. 실제 지난해 해상풍력 신규 설치량은 6.1GW, 누적 설치량은 29.1GW로 육상풍력 대비 각각 11%, 5%에 불과한 상황이다. 

하지만 다른 재생에너지에 비해 탄소를 저감하는 효과가 큰 해상풍력은 점차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면서 그린 뉴딜의 ‘게임 체인저’로 주목을 받고 있다. 실제 해상풍력 발전단가는 지난 10년간 약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현재 해상풍력에서 가장 앞서가는 국가는 영국이다. 영국의 해상풍력 누적 설치량은 지난해 기준 전 세계 설치량의 33%에 달한다. 그 뒤는 독일 26%, 중국 24%, 덴마크 6%, 벨기에 5% 등의 순으로 약 75%의 해상풍력이 유럽에 집중된 상황이다.

다만 향후 수년간 순위가 뒤바뀔 가능성은 남아있다. 해상풍력의 신흥 강호인 중국은 지난해 2.4GW를 신규 설치해 영국(1.8GW)을 앞섰다. 약 1만8000km의 해안지대를 가지고 있어 잠재성이 큰 데다, 육상풍력과 달리 해상풍력에 대해서는 보조금을 계속 지급하고 있는 만큼, 영국과의 격차는 계속 좁혀질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또한 동부 해안을 중심으로 해상풍력 비중을 높이고 있는 데다 신규 국가의 참여도 이어지고 있어 향후 해상풍력 시장의 성장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