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사진=해양수산부
탐라해상풍력발전단지. 사진=해양수산부

전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그린뉴딜 열풍을 타고 풍력발전 또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중을 중심으로 유럽과 남미, 아시아로 점차 풍력발전 시장이 확대되는 흐름 속에서, 한국은 어디쯤 위치하고 있을까? 

세계적 추세와 마찬가지로 국내 풍력발전 설치 규모도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한국풍력산업협회에 따르면, 국내 풍력발전 누적 설치량은 지난 2010년 373.3MW에서 2019년 1490.2MW로 10년간 4배나 증가했다. 신규 설치량은 2015년 224.4MW에서 2017년 111.5MW로 줄어들었으나, 지난해 기준 191.0MW로 다시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한국의 풍력발전 시장은 걸음마 단계에 머물러있다. 세계 최대 규모의 풍력발전 설비를 보유한 중국의 지난해 신규 설치량이 26.2GW과 비교하는 한국의 풍력발전 성장 속도는 만족할만한 수준은 아니다. 

다른 국가와 비교해도 마찬가지다. 세계풍력에너지협의회(GWEC)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한국보다 신규 설치량이 적은 국가는 베트남(160MW), 파키스탄(50MW), 필리핀(0MW) 정도다. 인도(2.4GW), 일본(274MW), 호주(837MW)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주요 국가들은 모두 우리보다 상당히 빠른 속도로 풍력발전 비중을 늘려가고 있다.

 

자료=
자료=한국풍력산업협회

◇ 국내 풍력발전, 지형적 불리함에 기술 격차 커

그렇다면 국내 풍력발전 성장이 더딘 이유는 무엇일까? 무엇보다 풍력단지 조성에 유리한 육상부지가 부족하다는 것이 문제다. 풍력발전을 위해서는 초속 4m 이상의 바람이 일정하게 불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입지는 매우 제한적이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70% 이상이 산악지대로 백두대간 일부 및 제주도를 제외하면 풍력단지 조성이 어려운 지형적 조건을 가지고 있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내수시장이 제대로 형성되지 않아 국내 사업자들의 참여와 경쟁도 둔화되는 악순환이 이어졌다. 이 때문에 현재 국내 풍력기술 수준도 유럽 등 풍력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지고 있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에 따르면 2016년 기준 한국의 풍력발전시스템 기술은 유럽의 83.3% 수준으로 약 1.4년 뒤쳐진 것으로 나타났다. 풍력단지 기술의 경우 72.5%(2.3년)로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국내에서도 두산중공업, 효성, 한진산업, 유니슨 등이 풍력발전기를 제작하고 있지만, 용량 면에서 아직 외국산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두산중공업이 3MW급 발전기를 실제 설치한 실적이 있지만, 해외에서는 이미  2010년대 중반부터 5MW급 이상을 도입하고 있는 추세다. GE, 지멘스, 베스타스 등 선두 업체들은 이미 8MW급 풍력발전기의 상용화를 마치고 10MW급 이상의 터빈을 개발 중인 반면, 두산중공업은 오는 2022년에야 8MW급 개발을 완료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자료=산업통상자원부

◇ 文정부 해상풍력 로드맵, 기술격차 따라잡을까?

지형적 불리함으로 육상풍력 확대가 어렵다면 대안은 해상풍력이다. 중국의 사례에서 알 수 있듯이, 내수시장이 어느 정도 확보되지 않는다면 풍력기술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해상풍력단지 건설을 통해 국내 사업자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것이 필수다. 

해상풍력은 육상풍력에 비해 강한 풍량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는 데다, 소음 및 일조권으로 인한 지역주민의 불만도 피해갈 수 있어 향후 성장 전망이 밝은 분야다. 게다가 제조업 및 건설업과 연계성이 높고 고용유발 효과도 커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만 아직 기술·제도적 난점으로 인해 국내 해상풍력 설치 현황은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국내 상업운전 해상풍력 설치량은 총 124.5MW로 전체 풍력발전의 10%에도 미치지 못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도 해상풍력을 한국형 그린뉴딜을 위한 차세대 재생에너지로 인식하고 강력한 정책을 추진하는 중이다. 산업부 등 관계부처가 지난 7월 발표한 ‘해상풍력 발전 방안’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12GW 규모의 풍력발전기를 설치하고 세계 5대 해상풍력 강국에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직접 풍력단지 건설을 위한 입지를 발굴해 타당성 조사에 돌입할 방침이다. 또한 해상풍력단지 건설에 지역 주민들이 직접 참여해 중장기적 소득을 확보하는 참여형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재생에너지 발전의 가장 큰 난제였던 주민 반발 문제도 해소할 방침이다. 

또한 전북 서남권(2.4GW), 신안(8.2GW), 울산·동남권(4.6GW), 제주·인천(1.2GW) 등 초기에 대규모 프로젝트를 조기 착공함으로서 내수시장을 촉진시켜 국내 사업자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