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M 카드와 휴대전화 / 사진=픽사베이
SIM 카드와 휴대전화 / 사진=픽사베이

[뉴스로드] 일본 정부가 eSIM 보급을 추진한다. eSIM(embedde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내장형 가입자 식별 모듈)은 플라스틱 SIM을 대체하는 방식으로, 대중화된다면 통신사간 경쟁 촉진 및 가계 통신비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난 23일 아사히신문 등 외신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eSIM 도입을 통한 통신사간 경쟁 촉진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 스가 요시히데 정권 출범 직후 5G 요금제 개편 압박에 이은 적극적인 ‘통신비 줄이기’ 행보다.

이동통신 서비스 필수품인 SIM은 가입자가 자신이 사용할 휴대전화를 통신사에게 알리는 데 활용된다. 통신사는 가입자가 휴대전화에 SIM 카드를 꽂으면, 이동통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SIM은 신규가입이나 통신사 변경 시 새로 사야 한다. 이에 가입자를 특정 통신사에 종속시키는 요소 중 하나로 꼽힌다. 일본에서 SIM 카드는 약 400엔(한화 4300원)이다. 가입자가 매년 번호이동으로 휴대전화를 구매한다면, 1인당 연간 400엔을 낭비하는 셈이다.

eSIM은 휴대전화에 SIM을 내장하는 방식이다. eSIM의 장점은 크게 세 가지다. ▲eSIM이 탑재된 휴대전화를 이용하면, 별도의 SIM 카드를 구매할 필요가 없다. eSIM 휴대전화가 전면 보급된다면, 통신사 변경이 한결 자유로워져 통신사간 경쟁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

이 밖에 ▲듀얼 SIM을 지원하지 않는 휴대전화로도 2개 회선을 동시에 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휴대전화 제조사가 SIM 카드 슬롯을 완전 없앤다면, 더 가볍고 배터리·방수 기능 등이 개선된 제품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일본 정부의 eSIM 보급 추진에는 선결 과제가 있다.  eSIM을 지원하는 휴대전화가 늘어 가입자 선택 폭이 넓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가입자가 통신비 절감을 체감하려면 앞으로 eSIM 탑재 휴대전화만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이 같은 제품은 현재 일본 시장에 아이폰 등 일부 기종밖에 없다.

한국에서는 eSIM 대중화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eSIM 보급은 일본처럼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통신사 재량에 맡겨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신사가 eSIM 도입을 추진할 이유는 없다. 국내 통신사들은 원가 1000원인 SIM 카드를 8배 수준인 7700원에 판매하며 연간 약 2000억 원을 벌어들이고 있는 탓이다.

한국은 eSIM 대중화에 첫발을 뗀 단계다. 알뜰폰 사업자 티플러스는 지난 7월 국내 최초로 eSIM을 도입했다. 다만 가입자 수가 많지 않아 eSIM 활성화 효과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