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정부가 추진한 AI 학습용 데이터 관련 사업 목록. / 사진=한국정보화진흥원(NIA)

[뉴스로드] 한국판 디지털뉴딜 핵심인 ‘데이터댐 구축’ 사업이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단순 인력을 양산하는 데 그쳐, 참여 청년들의 고용불안을 심화시킨다는 것이다. 사업 당국인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은 해당 문제를 인지하고, 개선 방향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이다.

NIA는 ‘AI 학습용 데이터 사업의 실효성 향상을 위한 정책 방향’ 보고서를 지난 16일 발표했다. 이 보고서에는 데이터 구축 사업 정책방향 및 문제점에 대한 내용이 담겨 있다.

NIA는 데이터 구축 사업 인력을 세 단계로 구분해 양성할 계획이다. 인력의 지식 수준별로 수요처나 채용규모가 다르기 때문에 세분화를 통해 효율을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AI 학습용 데이터 인력은 지식 수준에 따라 세 단계로 나뉜다. / 사진=한국정보화진흥원(NIA)

1단계는 ‘데이터 라벨러’로, 단기 아르바이트 방식으로 고용되는 인력이다. 별도 기본 역량은 필요 없으며, 오피스 프로그램을 다룰 줄 아는 수준이면 투입될 수 있다.

2단계는 ‘데이터 관리자’다. 1단계와 달리 계약직 이상의 일자리 수요가 있다. 데이터 성능 및 AI 모델의 구현·학습·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역량이 요구된다.

마지막은 ‘데이터 과학자’다. 데이터 과학자는 기업에 채용되려면 데이터·AI 전문지식과 수학·통계·확률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하다.

문제는 1단계 인력의 고용불안이다. 1단계 인력에는 최근 행정안전부와 NIA가 추진한 ‘공공데이터 청년인턴’ 6000여 명도 해당할 정도로 수요가 많다. 다만 라벨링 업무가 전문지식을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정규직으로 채용되기 힘들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럼에도 NIA는 청년들의 고용안정을 위한 로드맵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고 있다. NIA는 “정부는 다양한 데이터 구축 과제를 지원해 민간기업을 지원하고, 인력에 대한 교육 정책을 함께 시행할 것”이라고 밝힐 뿐, 어느 시기에 어떻게 교육할지에 관한 설명은 전무하다.

또한, 1단계 인력이 교육을 받더라도 3단계로 성장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 2단계 이상으로 갈수록 취업문이 좁아지는 데다, 3단계 인력으로 일하기 위해서는 통상 석·박사 학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NIA 관계자는 17일 <뉴스로드>와의 통화에서 “청년들의 고용불안 문제는 인지하고 있으며, 어떻게 개선할지는 고민 중”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2025년까지 예산 예산 58조 원을 들여 90만 명의 1단계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NIA·행정안전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당국은 1단계 인력들이 단기 일자리에 머물지 않도록, 취업 지원·직무 교육 등 전반적인 로드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