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온라인 매체 ‘뉴지(Newsy)’와 여론조사업체 유고브(Yougov)가 지난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페이스북에서 허위정보를 접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자료=유고브
미국 온라인 매체 ‘뉴지(Newsy)’와 여론조사업체 유고브(Yougov)가 지난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페이스북에서 허위정보를 접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자료=유고브

페이스북이 ‘가짜뉴스 확산의 주범’이라는 오명을 벗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소셜미디어의 사회적 책임이 강화되는 추세에 맞춰 페이스북을 통해 유통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좀 더 적극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이다.

앞서 페이스북은 지난 4일 유해 컨텐츠 관리를 주제로 진행한 아시아·태평양(APAC) 미디어 세션에서 허위정보(misinformation)에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에 대해 설명했다. 페이스북은 국제팩트체킹네트워크(IFCN)가 공인한 80여개의 팩트체크 기관들과 협력해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각종 가짜뉴스를 적시에 적발·차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페이스북은 허위정보를 적발한 경우 “삭제, 감소, 알림(Remove, Reduce, and Inform)”의 3단계 전략을 통해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백신에 대한 공포를 조장하는 가짜뉴스나 딥페이크 영상 등 직접적인 피해을 야기할 수 있는 유해 컨텐츠는 즉각 ‘삭제’하는 한편, 팩트체크 기관이 허위로 판단한 게시물의 노출을 ‘줄이고’, 가짜뉴스로 판명된 컨텐츠에는 경고 라벨을 붙여 이용자들에게 ‘알리는’ 식이다. 

◇ 페이스북의 태도 변화, 원인은 미 대선?

페이스북은 2016년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될 당시 각종 허위정보가 가장 많이 유통된 소셜미디어로 지목됐음에도, 가짜뉴스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실제 닉 클레그 페이스북 부사장은 지난 2019년 정치인이 올린 게시물은 폭력을 조장하거나 유료 광고가 아닌 이상 페이스북 규정을 위반하더라도 삭제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페이스북은 정치적 담론이 형성되는 장소를 제공할 뿐, 정치적 게임의 심판 역할을 맡지 않을 것이라는 선언이었다.

하지만 지난해 말 미국 대선에서 페이스북이 재차 가짜뉴스 확산 채널로 비판을 받은 데다, 최근 의사당 점거 사건까지 발생하면서 점차 입장이 바뀌고 있다. 최근에는 폭력을 부추기는 내용의 게시물을 올려 비판을 받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을 무기한 차단하고 영구 정지 결정을 감독위에 회부했다. 정치인 게시물의 해석은 이용자의 판단에 맡기겠다는 입장을 2년 만에 포기한 셈이다. 

◇ BIJ, "페이스북, 가짜뉴스로 수익 창출 중" 비판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페이스북이 책임을 다하고 있다는 평가는 전혀 나오지 않고 있다. 영상뉴스를 중심으로 하는 미국 온라인 매체 ‘뉴지(Newsy)’와 여론조사업체 유고브(Yougov)가 지난달 22~25일 미국 성인 122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어디서 가장 많은 허위정보를 접하나”라는 질문에 “페이스북”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무려 65.6%로 가장 많았다. 그 뒤는 정치인(62.6%), 트위터(53.7%), 케이블뉴스(51.2%) 등의 순이었다. 소셜미디어뿐만 아니라 방송, 라디오, 신문 등 전통 매체를 모두 통틀어서 가장 신뢰받지 못하는 플랫폼으로 꼽힌 것이다. 

게다가 최근에는 코로나19 관련 가짜뉴스를 방치하고 있다는 비판까지 제기되고 있다. 영국 매체 가디언은 지난달 30일 페이스북에서 여전히 코로나19 및 백신과 관련해 수많은 허위정보가 확산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수많은 계정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영국 비영리단체 ‘탐사보도국’(Bureau of Investigative Journalism)의 최근 조사에서 약 430개 페이지가 ‘팬 구독’, ‘샵스(Shops)’ 등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해 백신과 관련된 가짜뉴스를 퍼뜨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디언은 페이스북 또한 이런 페이지에 광고를 노출시킴으로써 수익을 얻고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팩트체크 단체 ‘퍼스트 드래프트’(First Draft)의 클레어 워들 박사는 가디언을 통해 “페이스북은 이들에게 돈을 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은 사람들이 경쟁 플랫폼보다 페이스북을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페이스북 관계자는 탐사보도국이 지적한 가짜뉴스 페이지 중 대부분은 페이스북 규정을 전혀 위반하지 않았다며, 일부 페이지만 삭제 조치했다고 밝혔다. 

앞서 페이스북은 4일 미디어 세션에서 “지난해 3~10월 코로나19 관련 1200만개의 가짜뉴스를 삭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반복되는 가짜뉴스에 대한 지적에도 불구하고 소극적인 대응을 보이고 있는 페이스북의 모습은 그동안 강조해온 가짜뉴스 대책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이 때문에 미국 정계에서는 소셜미디어 플랫폼의 유해 컨텐츠에 대한 책임을 면제한 통신품위법 230조를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다. 허위정보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페이스북의 선언이 공약(空約)으로 끝날지, 실질적인 조치를 통해 플랫폼 업계의 변화를 불러올지 관심이 집중된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