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드] 번역기는 아직 생소한 순우리말까지는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웹·앱 번역 서비스는 전문 영역 번역에 도움을 줄 정도로 품질이 향상됐다. 일상에서 외국인과의 회화나 영자신문 읽기에 활용하는 이들도 있다. 대표적인 번역기로는 ‘네이버 파파고’ ‘카카오i 번역’ ‘구글 번역’ 등이 있다.

번역기는 우리말을 외국어로 옮길 때나, 그 반대의 용도로 쓰인다. 우리말 뜻을 가진 각국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번역기에 ‘나는 기사를 쓴다’는 문장을 입력하면, ‘I(나는) write(~를 쓴다) an article(기사)’로 변환된다.

사진=구글 번역
사진=구글 번역 서비스 캡처

이 문장에서 ‘나’와 ‘쓴다’는 한자가 없는 순우리말이다. 어떤 번역기든 이처럼 흔히 알려져 있는 순우리말은 문제 없이 해석하고 있다.

그렇다면 ‘너나들이’ ‘아스라이’ 등 국민들도 낯설게 느끼는 순우리말은 어떨까. 기자는 그 궁금점을 해소하기 위해 번역기의 순우리말 이해도 시험을 시작했다.

검증 대상으로 삼은 순우리말은 ‘수나롭다’ ‘너나들이’ ‘몰몰’ ‘쪼로니’ ‘안다미로’ ‘또바기’ ‘아스라이’ ‘시나브로’ 등 8개다. 이는 지난해 10월 9일 한글날, 서울시가 훈민정음 반포 574돌을 기념해 소개한 ‘잊혀 가는 순우리말’이다.

지난해 10월 9일 서울시가 훈민정음 반포 574돌을 기념해 소개한 '잊혀 가는 순 우리말' 8종 / 사진=서울시

시험 결과, 번역기 3종은 해당 순우리말들을 1개도 해석하지 못했다. ‘수나롭다’는 ‘무엇을 하는 데에 있어 어려움이 없이 순조롭다’는 뜻을 지닌 말이다. 파파고는 ‘It's too much(그건 너무 심하다)’ 카카오i 번역은 ‘be a tough one(힘든 ~가 되다)’ 구글 번역은 ‘Unpleasant(불편한)로 번역했다.

문장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번역기들은 ‘수나롭다’를 사용한 문장인 ‘머리를 쓰면 쓸수록 수나롭게 돌아간다’를 The more I use my head, the worse it turns(머리를 쓰면 쓸수록 더 나빠진다)로 이해했다. ‘Smooth’로 대체할 수 있을 법한 문맥이지만, 본래 의미대로 번역되지 않았다.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순우리말. / 사진=구글 번역 서비스 캡처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순우리말. / 사진=구글 번역 서비스 캡처

기자가 임의로 고른 순우리말 ‘톺아보다’도 모든 번역기가 잘 알아 듣지 못했다. 이는 ‘샅샅이 톺아 나가면서 살피다’라는 뜻을 지녔지만, 파파고는 ‘look at the top of one's(윗부분을 살피다)’로 변환했다. 구글 번역은 ‘Look at(~를 살피다)’로 비슷한 의미로 번역하는 데 성공했다. 카카오i 번역의 경우 ‘ah bor’라는 의미불명의 결과를 제시했다.

번역기가 낯선 순우리말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는 까닭은, 대중매체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은 번역기 성능 고도화에 책이나 신문기사 등 상투적인 표현을 쓰는 문헌을 주로 참고한다. 이 과정을 ‘기계학습’이라고 한다. 번역기가 ‘Look at’을 ‘~를 살피다’로만 인지해, 유사하거나 잘 쓰이지 않는 표현은 배제하는 셈이다.

또는 대체할 표현이 없는 외래어로 판단했을 때 번역기가 오류를 일으키기도 한다. 카카오i 번역이 ‘톺아보다’를 ‘ar bor’로 번역한 사례가 해당한다. 실제로 번역기 3종은 ‘아스라이’ 등 일부 우리말을 ‘asrai’처럼 발음대로 바꿨다. 한국에서 놀이기구 ‘시소(seesaw)’를 그대로 받아들여 사용하는 것과 같다.

국민도 낯설게 느끼는 순우리말을 번역기가 모르는 현상은 부정적으로 보기는 어렵다. ‘김치’ ‘비빔밥’ 등 명사는 발음대로 해외에 전해져 우리 문화를 알리는 데 일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동사나 형용사 중에 현지 언어로 대체가 충분히 가능한 표현은 번역기 개선에 반영해도 괜찮지 않을까 싶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