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서 제공하는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정보. / 사진=CDC 웹사이트 캡처

[뉴스로드] 미국의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관련 서비스들이 눈길을 끈다. 미국은 지난해 12월 접종을 시작해, 한국보다 다양한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다.

30일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에 따르면, 현지 국민들은 이날까지 코로나19 백신을 1억4581만 회 접종했다. 2회 접종 등 예방접종을 완전히 끝마친 비율은 대상자의 15.8%다.

미국은 대상자가 많고 국토가 넓어 접종 실시 초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공공 조달로 접종 관련 서비스를 구축·운영했지만, 사업자 기술역량의 한계로 틀린 정보를 제공하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일이 잦았다.

현재 연방정부 차원에서 CDC는 백신 접종 관리 시스템(VAMS, Vaccine Administration Management System)을 운영 중이다. 국민들에게 백신 재고·접종 현황을 웹·앱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미국에서는 VAMS 서비스 도중 중대한 결함이 발생했다. 1·2차 접종자를 구분해 기록하지 못해 접종 예약이 취소되는 사례가 속출한 것이다.

미국 지방정부는 주민들이 접종 대상인지 확인하거나 예약하는 시스템을 관리하고 있다. 이 역시 오류가 나타나거나 이용 절차가 불편해, 접종이 지체되는 요인이 됐다. 예를 들어 뉴욕주에서는 거주민이 타 지역민보다 접종을 늦게 받는 경우도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은 민간기업들이 속속 관련 서비스를 출시하면서 반전됐다. 미국 의료 플랫폼 ‘작닥(Zocdoc)’은 의료기관의 예약 가능 여부를 알려주는 기능을 추가했다. 작닥은 본래 의사와 환자를 매칭해주는 서비스였다. 작닥의 접종 예약 서비스는  시카고시를 시작으로 뉴욕주·워싱턴주·일리노이주 등 지원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사진=작닥(Zocdoc) 웹사이트 캡처

구글은 노스캐롤라이나주·매사추세츠주·버지니아주·애리조나주 등과 함께 백신 관련 서비스를 전개하고 있다. 국민들이 스스로 백신 접종 대상인지 확인하거나, 구글 지도 상에서 접종 의료기관을 찾는 서비스 등이다.

이처럼 미국은 민관협력을 통한 코로나19 백신 접종 관련 서비스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떨까. 국내에서는 요양병원 및 요양시설 입소자, 고위험 의료기관 종사자 등 우선접종대상부터 백신을 맞고 있다. 본격적인 접종은 인구 대부분인 18~49세 성인이 대상이 되는 3분기부터지만, 선제적으로 관련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접종 예약 관련 핵심 서비스는 ‘국민비서’가 될 전망이다. 국민비서는 행정안전부와 네이버·카카오·비바리퍼블리카 등이 협력한 행정정보 안내 서비스다. 29일부터 서비스가 시작됐으며 현재는 ‘건강검진’ ‘운전면허 적성검사’ 등 정보만 제공하지만, 하반기 중에 코로나19 백신 접종 예약 현황도 제공할 예정이다.

우리 정부는 29일부터 행정정보 알림 서비스 '국민비서'를 개시했다. 정부는 국민비서를 통해 하반기부터 백신 접종 현황도 제공할 계획이다. / 사진=정부24 웹사이트 캡처

백신 재고 정보를 관리하는 플랫폼도 개발하고 있다. 강원도 의료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의 일환이다. 해당 플랫폼은 초 단위로 접종 시간을 수집하며,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접종자들에게 자가진단 문항을 발송하는 등 서비스를 지원한다.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접종 관련 서비스 로드맵이 차질 없이 추진되고 있다. 다만 미국처럼 이른 시기에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시작한 국가도 있는 만큼, 해외의 관련 서비스 장단점을 미리 살펴보는 것도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