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열린 국회 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정상화 토론회에서 중앙대 조희영 교수가 발언하고 있다. / 사진=유튜브 영화진흥위원회 채널

[뉴스로드] 문화예술학계와 업계 인사들이 극장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한 목소리를 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매출 급감이 업계 고용불안 및 지역경제 쇠퇴로 이어지고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국민의힘 최형두·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실은 28일 ‘포스트코로나 영화산업정상화 토론회’를 온라인 개최했다. 이번 토론회에는 학계 및 업계 인사가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최형두 의원은 “코로나19로 문화예술계가 큰 위기를 맞았다”며 “특히 극장은 지난해 관객이 전년비 73.7% 감소했고, 영화계 전체 매출은 전반 가까이 감소했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이어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OTT 등 온라인 미디어가 부각되면서, 이제는 극장 개봉이 선택 사항이 된 현실”이라며 “상영 플랫폼을 고민하는 제작사가 생겼고, 영화뿐 아니라 극장 중심 돌아가는 상권에도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고 우려했다.

영화진흥위원회 김영진 위원장은 “현재 한국영화의 국제적 위상이 높아졌지만, 위기 역시 어느 때보다 깊다”며 “업계는 신작 개봉을 줄줄이 연기하고, 제작 중단과 투자 위축이라는 악순환에 갇혀 창작 동력을 잃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학계 “극장 몰락 현실화, 금융 지원 필요”

영진위에 따르면 지난해 상업영화 제작 편수는 전년비 16편 감소한 29편이었다. 극장 관람횟수는 3.22회 줄어든 1.15회를 기록했다.

멀티플렉스 극장 폐관도 잇따르고 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현재까지 22개 멀티플렉스가 문을 닫았다. 대형 극장보다 상황이 어려운 독립극장까지 포함하면 규모는 더 커진다. 같은 기간 대형 영화관 정규직, 계약직 직원들의 각각 19.6%, 81.2%는 일자리를 잃었다.

온라인 플랫폼 업황도 마찬가지다. 지난해 신작 영화 공급 축소로, IPTV·케이블TV VOD 매출은 전년비 34.3%, OTT의 경우 12.1% 줄었다. 중앙대 조희영 교수(영진위 포스트코로나영화정책추진단 수석연구원)는 “현재 온라인 플랫폼 중에 해외 업체인 넷플릭스만 독주하면서, 토종 OTT와의 격차가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 연구원은 ‘구독형’ VOD 서비스 성장이 국내 영화산업을 위축시킨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구독형 서비스는 건별 구매 VOD에 비해 제작사 수익이 낮아,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그는 “미국은 제작사들이 각각 OTT 서비스를 론칭하고, 건별로 영화를 거래하는 질서가 확립돼 시장 규모 유지가 가능하지만, 극장 매출이 절대적인 국내는 위기에 몰렸다”고 말했다.

조 연구원은 해외 사례를 들며 국내 영화계 업황 개선을 위한 금융 지원을 촉구했다. 프랑스는 기존 극장·방송·VOD·OTT 산업에서 징수한 영화기금 재원으로 영화관 복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독일은 극장시설 인프라에 예산 1억2000만 유로(한화 약 1632억 원)을 편성했고, 영국의 경우 5억 파운드(8000억 원)를 지원하고 있다.

◇극장 폐관에 지역경제 ‘휘청’

홍익대 고성민 교수(오른쪽)가 발언하고 있다. / 사진=유튜브 영화진흥위원회 채널

코로나19 사태 이후 극장이 폐관된 지역이 쇠퇴하고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홍익대 고성민 교수는 “지난해부터 ‘사냥의시간’ ‘콜’ ‘승리호’ 등 영화는 극장 개봉을 포기하고 넷플릭스에 최초 개봉했다”며 “지역경제 활성화 효과가 컸던 극장산업 악화로, 각 지역 상권들도 어려워지고 있다”고 말했다.

극장산업은 전반적으로 쇠퇴했지만, 독립극장의 경우 피해가 더 심각하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한국예술영화관협회 최낙용 대표는 “독립예술영화관은 코로나19 상황이 호전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3년에도 관람 문화 변화 및 상영 영화 부족 등으로 회복이 불가할 것”이라며 “관객층이 얇은 지역의 독립 예술영화관은 적자 누적으로 폐관이 현실로 다가왔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코로나19 피해 지원사업 중 효과 높았던 ‘기획전’ 사업의 2023~2024년 분기별 진행과 긴급 예산 편성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멀티플렉스 역시 올해 신작영화 개봉 지연 및 인건비·임차료 등 고정비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CGV 조성진 전략지원담당은 “특히 거리두기 정책 수정이 시급하다”며 “극장은 2차 감염사례가 없음에도 영화관 내 취식 금지라는 차별적 정책에 국민들로 하여금 더욱 가지 않아야 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개선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