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드] 국립생물자원관은 국내 포유류와 관속식물 601종의 멸종위험 상태 최신 현황을 다룬 개정판을 7일 발간했다. 초판은 2012년 발간된 '국가생물적색자료집'이다.

이번 개정판에는 601종의 자생 현황과 초판 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결과를 담았다. 601종은 포유류 47종과 관속식물 554종이며, 포유류는 우리나라 국가생물종목록에 등록된(2020년 기준) 포유류 125종에서 37.6%, 관속식물은 4,596종에서 12%를 차지한다. 

또한, 각 종 사진을 포함하여 종명, 학명, 영문명 등도 함께 기재해 외국인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전국의 국립공원 지도를 함께 넣어 개략적인 분포 현황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멸종위기 야생생물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군·면 단위까지는 표기하지 않았다.

이번 개정판에서 야생생물의 현지 내 보전상태와 멸종위험도 평가 기준으로 쓰인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지역적색목록 지침을 토대로 평가한 결과, 포유류 14종과 관속식물 188종은 위급, 위기, 취약에 속하는 멸종우려 범주로 나타났다.

지역적색목록 범주는 절멸(EX), 야생절멸(EW), 지역절멸(RE), 위급(CR), 위기(EN), 취약(VU), 준위협(NT), 최소관심(LC), 정보부족(DD), 미적용(NA), 미평가(NE)로 구성되고, 이 중에서 위급, 위기, 취약 3개 범주는 '멸종우려범주'로 구분된다.

멸종우려범주에 속한 포유류 14종 외에 나머지 포유류 33종은 지역 내 절멸 5종, 준위협 1종, 최소관심 18종, 자료부족 6종, 미적용 2종으로 범주화되었다.

관속식물은 이번에 지역 내 절멸로 평가된 나도풍란, 다시마고사리삼, 무등풀, 벌레먹이말, 줄석송 5종을 비롯해서 위급 28종, 위기 74종, 취약 86종, 준위협 131종, 최소관심 152종, 자료부족 47종, 미적용 31종으로 범주화되었다.

지역절멸로 평가된 종들은 과거 우리나라에 자생했던 것으로 파악되나 그 현황이 오랜 기간 확인되지 않고 있는 종들로, 최근까지 절멸이 추정되고 있다.

전체 종 중에서 총 234종은 과거 평가받은 범주를 유지하였고, 2012년보다 상향(절멸위험도 증가로 해석) 평가된 종은 포유류 3종 (여우, 산양, 무산쇠족제비)과 관속식물 102종(무주나무, 손바닥난초, 피뿌리풀 등)으로 나타났다. 

하향(절멸위험도 감소로 해석) 평가된 종은 관속식물에서만 53종(백운란, 산작약, 섬개야광나무 등)이다. 

새롭게 평가를 받은 포유류는 8종(관박쥐, 등줄쥐, 흰넓적다리붉은쥐 등), 관속식물은 109종(선모시대, 신안새우난초, 제주방울란 등)이다. 

지난 2012년에 처음 발간된 자료집과 비교하면 멸종우려범주에 수록된 종의 수가 240종에서 202종으로 감소했다. 이 같은 이유에 대해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그간 여러 기관이 조사해온 자연환경 관측(모니터링) 결과 자료가 꾸준히 축적되어 잘 알려지지 않았던 자생생물들의 현황이 새롭게 밝혀지고 있어, 멸종우려도가 비교적 높았던 종 중에서 일부는 그 범주에서 벗어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개정판은 주요 도서관을 비롯한 관련 연구기관 및 관계 행정기관 등에 책자 형태로 배포되며, 문서파일(PDF)은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www.nibr.go.kr)에 게시됐다.

국립생물자원관은 2019년에 시작된 이번 자료집의 개정을 2024년까지 순차적으로 완료할 계획이다.  아울러, 이번 자료집은 '한국 적색목록지수(Korean Red List Index, K-RLI)'를 생산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적색목록지수'는 생물다양성 보전 성과에 관한 지표 중 하나로, 최근 야생생물 보전이나 멸종 예방을 위한 여러 국제적 협약이나 목표에서 활용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