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드] 개인 의견이 국민적 어젠다로 발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청와대 국민청원’ 등 네티즌 커뮤니티의 결실이다. 다만 국민청원은 20만 명의 동의를 얻어야 해, 공론화되지 못한 안건은 공중으로부터 소외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를 벗어나 화제성이 부족한 의견에도 힘을 실어주는 서비스가 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2016년 3월 개설한 국민정책참여플랫폼 ‘국민생각함’이다. 이곳에 게재되는 의견은 반응이 저조하더라도 당국이 모니터링하며 정책에 반영하기도 한다. <뉴스로드>는 우리 사회의 공공선 확장 차원에서 관련 사안을 발굴해 보도한다.

표=뉴스로드 김윤진 기자

국민생각함에서 ‘음식물쓰레기 재활용 방안’에 대한 설문조사가 오는 30일까지 진행된다. 농촌진흥청은 탄소중립을 위해 음식물 쓰레기 발생량 최소화 및 농업 재활용이 필요하지만, 부정적인 인식과 처리 비용이 고민이라며 이번 의제를 제안했다.

현재 음식물쓰레기는 대부분 농업 퇴비로 재활용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약 89%는 퇴비나 사료로 가공해 사용한다. 그러나 위생과 안전성에 의문을 갖는 국민들도 있어, 비용이 좀더 들더라도 신뢰할 만한 퇴비 제작 과정이 필요한 실정이라는 게 농진청의 설명이다.

음식물쓰레기의 농업 재활용은 농업학계에서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음식물쓰레기에 섞일 수 있는 비닐, 플라스틱 등 타 폐기물과 짙은 염분이 토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급수량만 일정하다면 문제가 없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농진청은 막대한 처리 비용도 지적했다. 환경부에 따르면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2019년 기준 일평균 1만5903톤에 달한다. 처리 비용은 톤당 22만 원가량이다. 연간 약 1조3000억 원이 드는 셈이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26일 기준 전국 남녀노소 네티즌 918명이 참여 중이다. <뉴스로드>가 이날 설문조사 진행상황을 중간집계한 결과, 응답자의 95.0%는 ‘음식물쓰레기를 농업용 퇴비로 재활용하는 정책’에 찬성하는 입장이었다.

다만 처리 비용 증가에는 난색을 표하는 이들도 많았다. 64.9%는 ‘증가 금액에 따라 부분적으로 동의’한다고 밝혔다. 다음은 ‘무조건 동의(25.8%)’ ‘반대(9.0%)’ ‘관심 없음(0.3%)’ 순이었다.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식에 반대하는 네티즌들의 39.4%는 ‘비닐 등 이물질이 토양과 농산물에 악영향을 줄 것 같다’고 답했다. ‘악취가 농촌 환경에 악영향을 줄 것 같아서(29.8%)’ ‘음식물쓰레기 퇴비로 재배한 농산물을 먹고 싶지 않아서(17.0%)’ 등을 꼽은 네티즌도 있었다.

네티즌 A씨는 “일상에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를 실천하는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며 “필요한 만큼만 식자재를 구매하고, 배달음식을 주문할 때도 적당히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A씨는 이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캠페인을 SNS나 유튜브의 콘텐츠 등으로 홍보하면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음식물쓰레기 부피를 줄여 버리는 것도 중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B씨는 “음식물건조기를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해서 버리면 퇴비로 재활용하기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음식물쓰레기 농업 재활용 사업 추진에 활용할 방침이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