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위생과 음식점 관련 공공데이터 예시. / 사진= 공공데이터포털 웹사이트

[뉴스로드] 무더위가 지속되면서 식품위생과 음식점 정보를 담은 공공데이터에 관심이 쏠린다.

공공데이터란 공공기관이 민간에 개방한 데이터를 일컫는다. 개인이나 기업은 이를 무료로 열람할 수 있고, 영리 목적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정부는 모든 공공기관의 데이터를 모아 공공데이터포털에서 제공하고 있다.

공공데이터포털에서는 28일 기준 식중독 예방 서비스에 활용하기 좋은 공공데이터 10종을 묶어 소개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공공데이터포털은 “해마다 여름만 되면 음식에 세균 증식이 활발해지면서 식중독에 걸리는 사례가 늘어난다”며 “식중독 발생이 많이 발생하는 곳은 학교와 기업 급식소, 음식점 순”이라고 덧붙였다.

해당 데이터들의 제공기관은 식품의약품안전처(4종), 서울시·경기도·대전시·경상남도 함안군·제주도 서귀포시·경기도교육청(각 1종)이다.

식약처 데이터로는 ‘식품 허위·과대광고 정보’ ‘위생관리등급별 업소 현황’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현황’ ‘식품모범음식점‘ 등이 있다.

예를 들어 위생관리등급별 업소 현황에서는 전국의 식품제조업체와 음식점을 등급별로 구분하고 있다. 위생 평가 결과에 따라 자율·일반·중점 관리업소로 나뉜다.

어린이 식품안전보호구역 관리 현황 데이터는 음식점이 어느 학교 식품안전보호구역 내에 있는지, 관할 지자체는 어디인지 나타낸다.

경기도는 도내 제조업체들이 생산한 식품 중 부적합 평가를 내리고 있다. 업체명, 상풍명, 회수사유 등이 명시돼 있다. 특히 회수사유는 금속물질이나 세균 등 평가 배경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어, 불량식품 정보를 소개하는 서비스에 도움이 될 듯하다.

경기도 부적합 식품 현황 공공데이터. / 사진=경기데이터드림 웹사이트

식약처와 경기도는 데이터를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외부인이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송하는 매개체) 방식으로 제공하고 있다. API 방식은 각 공공기관이 데이터 내용을 수정하는 즉시 이용자가 불러볼 수 있어, 정보가 수시로 변하는 서비스를 개발할 때 유용하다.

지자체와 경기도교육청은 ‘파일데이터’로 관련 정보를 구축했다. 이는 프로그래밍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쉽게 열람할 수 있지만, 식품제조업체나 음식점이 지적사항을 개선하거나 폐업하는 등 변수가 있을 때마다 새롭게 내려받아 서비스에 반영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같은 식품위생과 음식점 관련 공공데이터는 ‘배달의민족’ ‘요기요’ 등 유명 배달주문앱은 물론, ‘전국 모범음식점’ ‘경상남도 모범음식점’ 등 개인이나 스타트업도 서비스 보완에 활용하고 있다. 

한편 공공데이터포털이 2013년 개설된 이래 수많은 기업·개인이 공공데이터를 통한 사업 기회를 얻었다. 공공기관이 개방한 공공데이터 수는 28일 기준 5만7721개다. 지난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창업으로 창출된 일자리는 1만4881개에 달한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