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실은 ‘OTT 환경에서 영상콘텐츠의 확장과 육성 방향’을 주제로 24일 세미나를 열었다. / 사진=유튜브 채널 임오경TV

[뉴스로드] 중소 영상콘텐츠업체들이 정부에 제작지원사업 확대를 촉구했다. 영세한 업체들이 콘텐츠 제작 시 자본력이 큰 OTT 사업자 입맛에 맞추는 등 창의성을 보장받지 못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임오경 의원실은 ‘OTT 환경에서 영상콘텐츠의 확장과 육성 방향’을 주제로 24일 세미나를 열었다. 이 자리에는 영상콘텐츠업계와 학계 인사들이 참석해 우수 IP 확보 방안 및 제작지원 정책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했다.

발제를 맡은 한국콘텐츠진흥원 이양환 본부장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국민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대폭 변화하면서 IP의 중요성이 커졌다”며 말문을 열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국민들이 여가시간 중 콘텐츠를 이용하는 비율은 팬데믹 전후 45.1%에서 54.8%로 증가했다. 단순히 이용만 늘어난 것이 아니고,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해 콘텐츠를 선택하는 등 목적도 뚜렷했다.

나아가 TV, 라디오 등 기성 미디어가 지고, 모바일과 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이용도 꾸준히 늘고 있다. 모바일·온라인을 통한 콘텐츠 이용률은 팬데믹 전후 54.8%에서 69.1%로 변화했다. 연극·영화 등 대면 콘텐츠 비중 축소 여파로 풀이된다.

모바일·온라인 콘텐츠 소비를 이끄는 연령층은 20~30대 MZ세대였다. 이들은 가장 선호하는 미디어로 소셜미디어와 OTT를 꼽았다.

MZ세대는 소셜미디어를 단순히 메시지 이용에만 그치지 않고, 비디오클립이나 게임 스트리밍 등 영상콘텐츠 소비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OTT를 통한 온라인 영상물 이용도 점점 증대되는 상황이다. 이에 힘입어 OTT 시장은 2025년 813억 달러(한화 약 95조 원)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OTT 시장이 성장할수록 콘텐츠 제작사는 독립성을 잃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 본부장은 “이처럼 미디어산업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콘텐츠가 소외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제작에 필요한 세제, 투자, 융자 지원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제작사의 입지를 강화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연세대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최선영 교수는 “IP 소유와 계약 제반과 관련한 정책이 필요하다”며 “창작자가 앞으로 판권을 소유하는 등 계약 우위에 설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제작사들은 대기업들로부터 투자 유치를 받기 위해 콘텐츠 기획을 고치는 등 창작자들의 창의성 보장이 어려운 실정이라고 입을 모았다.

와이낫미디어 이민석 대표. / 사진=유튜브 채널 임오경TV

와이낫미디어 이민석 대표는 “업계에서는 정부 지원사업을 통해 콘텐츠를 만들어도 플랫폼에 편성이 안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플랫폼들 나름대로 니즈가 있기 때문”이라며 “그 니즈에 맞추다보면 본래 기획과 달라지기도 하는데, 콘텐츠 거래소 같은 수단을 만드는 등 아이디어를 발굴해보면 좋겠다”고 정부에 제언했다.

에그이즈커밍 고중석 대표는 “OTT 시장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려되는 건 너무 대자본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콘텐츠 창작자들의 창의성을 보장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의문이고, 대기업의 기준에 맞춰서 제작해야 하는 환경은 제작사 입장에서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고 대표는 이어 “슬기로운 의사생활 IP를 CJENM과 함께 보유하고 있는데, 마음같아서는 독점하고 싶었다”며 “그러나 투자를 받지 못하거나, 콘텐츠를 제작해도 실패하면 존립 기반이 망가지는 등 제작 환경이 불안정한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대형 제작사는 OTT와의 계약 관계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지만, 중소업체는 불리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중소 제작사들이 외풍에 흔들리지 않고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