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적 마스크 재고 모바일앱 웨어마스크. / 사진=구글플레이

[뉴스로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민간의 공공데이터 활용이 두드러졌던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공적 마스크 재고 모바일앱’ 등 국민 편의를 제고하는 서비스들이 탄생했다.

공공데이터란 공공기관이 민간에 개방한 데이터를 일컫는다. 개인이나 기업은 이를 무료로 열람할 수 있고, 영리 목적으로도 활용 가능하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은 지난 8일 ‘공공데이터 해외동향지 제27호’를 통해 제7차 OECD 공공데이터 전문가 그룹회의 주요 내용을 소개했다. 해당 회의는 OECD 관계자와 회원국의 공공데이터 정책 담당자들이 모여 성과를 공유하고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다.

NIA에 따르면 제7차 회의에서는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공공데이터 활용 사례를 다뤘다. 이 자리에서 오픈데이터헌장(ODC, Open Data Charter)은 25개국 정부의 코로나19 관련 데이터 개방 현황에 대한 평가를 발표했다. ODC는 전세계 85개 국가가 채택한 공공데이터 개방 원칙이자, 조직 이름이다.

ODC는 각국에 ▲개방 데이터셋간 일관성 부족 ▲코로나19 관련 중요 데이터 요구에 대한 각기 다른 답변 ▲지방정부·중앙정부간 조정 문제 등의 해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ODC는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는 의료 비상사태에 초점을 맞춘 공공데이터 정책 및 주도권을 강화해야 한다며 데이터를 공유하는 문화를 조성하기 위해 조정을 확대하고, 국민들의 참여를 촉진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뉴욕대 연구센터 거브랩은 각국 정부의 공공데이터 활용 경향을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공공데이터 활용사례의 4분의 3은 공공의료분야였고 ▲코로나19 감염 검사자 수와 결과, 사망자 수 등을 시각화해 대국민 소통 도구로 활용했으며 ▲코로나19 발생 초기에는 팬데믹으로 인한 피해 복구가 아닌 아닌 즉각적인 대응에 초점을 맞췄다는 공통점을 발견했다.

이번 회의에서 국가별로는 한국과 캐나다, 영국의 사례가 언급됐다. 한국은 코로나19 발생 초기인 지난해 3월, 민간에서 관련 공공데이터 개방 및 정책 제안이 적극적으로 이뤄졌다.

예를 들면 민간 주도로 탄생한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 서비스’가 있다. 또한 코로나19 잔여 백신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예약할 수 있는 서비스도 민간에서 개발했다.

캐나다 정부가 구축한 공공데이터 범주. / 사진=캐나다 공공데이터포털

캐나다의 경우 한국과 유사하게 시민들에 의한 공공데이터 관련 프로젝트가 활기를 띄었다. 캐나다에서는 민간 전문가들이 국가 전역의 코로나19 팬데믹 상황과 백신 접종 현황을 한 데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민들간 데이터 격차를 해소했다.

더불어 정부 발표와 뉴스 등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코로나19 환자·사망자나 백신 접종 현황을 데이터셋으로 만들어 깃허브에 게재하기도 했다. 깃허브는 전세계 개발자들이 효율적인 프로그래밍 방법을 연구하기 위해 서로 작성한 코드를 공유하는 커뮤니티다.

영국에서는 가짜뉴스 팩트체크에 공공데이터를 활용했다. 앞서 ‘5G 기술이 코로나19를 유발한다’ ‘코로나19 백신은 자석 혹은 마이크로칩이다’ 등 허위사실이 유포돼 영국 국민들이 혼란을 겪은 바 있다.

이와 관련해 영국 정부는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을 뒷받침하는 과학적 증거를 게시하며 잘못된 정보들을 일축했다. 또 코로나19 발생 및 백신 접종 상황도 차트, 그래프, 지도 등으로 시각화해 제공하는 웹사이트도 운영하고 있다.

NIA는 이번 회의에서 얻은 교훈으로 “우리나라도 캐나다 정부처럼 사용자 중심으로 공공서비스 편의성을 개선해,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및 회복에 대한 정보를 일원화하고 포괄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