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드] 개인 의견이 국민적 어젠다로 발전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는 ‘청와대 국민청원’ 등 네티즌 커뮤니티의 결실이다. 다만 국민청원은 20만 명의 동의를 얻어야 해, 공론화되지 못한 안건은 공중으로부터 소외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이런 한계를 벗어나 화제성이 부족한 의견에도 힘을 실어주는 서비스가 있다. 국민권익위원회가 2016년 3월 개설한 국민정책참여플랫폼 ‘국민생각함’이다. 이곳에 게재되는 의견은 반응이 저조하더라도 당국이 모니터링하며 정책에 반영하기도 한다. <뉴스로드>는 우리 사회의 공공선 확장 차원에서 관련 사안을 발굴해 보도한다.

국민생각함에서 청각장애 학생 학습권 보장 방안에 대한 의견수렴을 내달 7일까지 진행한다. 서울여자대학교 학생들은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온라인 수업 도입과 마스크 착용으로 청각장애 학생들이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의제를 제안했다.

장애인차별금지법에 따르면 교사는 수업 중 장애 학생들에게 정당한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별로 수업 환경이 달라 교육 격차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여대 학생들은 “교실에서는 마스크 착용으로 선생님의 입 모양이 가려져 내용을 이해하기 힘들고, 온라인 수업에서는 자막이 원활하지 않아 청각장애 아동과 청소년들이 수업 참여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고 말했다.

대안으로는 입 모양이 보이는 투명 마스크 사용, 자막 및 수어통역 콘텐츠 확대 등을 꼽을 수 있다. 대전교육청에서는 청각장애 학생 지도교사들에게 투명 마스크를 보급한 바 있지만, 다른 교육청들은 참여하지 않고 있다.

청각장애 학생들은 이 같은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음성을 문자로 변환해주는 기기까지 동원한다. 그러나 가격이 비싼 탓에 지원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기기를 갖췄더라도 수학이나 영어는 오류가 잦아 한계가 있다. 속기사와 계약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 역시 비용이 부담이다. 

서울여대 학생들은 청각장애 학생들의 학습권 보장을 위한 지역사회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STT(Speech to Text, 음성→문자 변환) 프로그램을 홍보하거나, 대학생들이 멘토링 활동에 나서 청각장애 학생들을 지도하는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네티즌들도 생각을 보탰다. A씨는 “속기사 혹은 STT 프로그램이나 기기를 정부에서 지원하거나, 공교육 콘텐츠를 만들 때 의무적으로 자막을 활용하는 제도가 필요할 것 같다”고 말했다.

교육 실태 개선을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는 네티즌도 있었다. B씨는 “청각장애 학생들이 겪는 불편을 지역사회에 알리기 위해 인플루언서들과 얘기를 나눠보는 것도 좋겠다”고 제안했다.

네티즌들은 이 밖에 “청각장애 학생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1:1 멘토링은 좋은 취지 같다”며 “정부 차원에서 제도를 마련해 지원해주길 바란다” “대학생들이 멘토링을 한다면 판서로 설명이 쉬운 과학·수학 과목보다는 국어·영어에 집중하는 게 좋을 듯하다” 등 의견을 보였다.

 

뉴스로드 김윤진 기자psnalism@gmail.com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