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데이터댐 사업 로드맵. /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로드] 정부가 데이터댐 사업을 본격화한 지 약 1년6개월이 지났다. 이 과정에서 일자리 창출 목적은 달성했지만, 고용불안 문제 해소는 향후 과제로 떠올랐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은 2일 디지털뉴딜 브리프 창간호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는 지난 1년간 디지털뉴딜 성과가 수록됐다.

◇데이터 플랫폼들, 올해 ‘댐’ 구색 갖춰

디지털뉴딜이라는 이름은 미국이 1929년 시작된 대공황 극복을 위해 시행한 뉴딜 정책에서 유래됐다. 당시 미국에서 일자리를 대거 창출한 토목사업인 후버댐은 뉴딜의 상징이 됐다. 우리 정부가 디지털뉴딜에서 데이터댐을 강조하는 이유도 일자리 창출에 있다.

데이터댐이란 하천을 가두는 댐처럼 데이터를 축적하는 플랫폼들을 일컫는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실태조사·통계 등을 제공하는 ‘공공데이터포털’ ▲사물인식·안면인식·챗봇·번역 등 AI산업 기반인 AI학습용데이터를 모은 ‘AI허브’ ▲빅데이터 거래 플랫폼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정부는 공공데이터포털과 각 공공기관 사이트를 통해 공공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다. 개방된 공공데이터 수는 지난 10월 기준 14만7000건에 달한다. 전체 42만 건 중 외부 공개가 불가한 데이터를 제외하면 대부분 공개된 상황이다.

그간 ‘공공데이터 일경험 수련생’ 사업에 참여한 청년도 6300명을 넘어섰다. 해당 사업은 데이터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들이 공공데이터를 구축하며 일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I허브도 구색을 갖춰가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AI학습용데이터가 21종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170종이 추가됐다. 각 데이터에 담긴 이미지·텍스트 등의 총합은 4억8000만 건에 달한다. 정부는 2025년까지 1300종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AI학습용데이터 구축 과정에서 창출된 일자리는 3만8000명 수준이다. 이 가운데 단기 아르바이트 형식의 크라우드 소싱(대중 참여)은 3만1000명, 참여기업 직접고용은 7400명으로 나뉜다. 크라우드 소싱의 경우 청년, 경력단절여성, 장애인 등 고용취약계층의 비중이 높다.

빅데이터 플랫폼에서는 문화·유통·금융·산림 등 총 16개 분야 빅데이터 4036종이 유통되고 있다. 활용 건수는 지난 8월 기준 20만3628건이다. 빅데이터 분야는 2025년 31종으로 늘어날 전망이다.

◇일자리 안정·데이터 품질 개선은 과제

메신저 대화 내용을 제공하고 보수를 받는 '자연어 크라우드 워커' 모집공고. / 사진=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메신저 대화 내용을 제공하고 보수를 받는 '자연어 크라우드 워커' 모집공고. / 사진=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정부는 성과 홍보에 적극적이지만, 일각에서는 일자리와 데이터 품질 관련 문제 제기가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데이터댐 사업 예산의 71%가 수도권에 몰려 타 지역 일자리 창출에는 효과가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또한 크라우드 소싱 일자리가 작업 건별로 주어지다 보니, 고용이 불안하고 급여 수준도 최저임금 적용을 받는 일자리 대비 떨어진다.

공공데이터와 AI학습용데이터가 수요와 관계 없이 구축되고 있다는 의견도 있었다. 정부가 개방 건수 홍보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활용 건수는 부족하다는 의미다.

한편 데이터 시장 규모는 2019년 16.9조 원에서 지난해 19.3조 원으로 14.3% 증가했다. 데이터 공급기업은 393곳에서 올해 1126곳, 같은 기간 AI 공급기업은 220곳에서 991곳으로 늘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내년 예산 18조6109억 원 중 데이터댐 예산으로는 1조4642억 원이 편성됐다.

뉴스로드 김윤진 기자psnalism@gmail.com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