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SH공사, 삼척 이어 충남 보령에 ‘골드시티 2호’ 추진...전국 확산 되나

- 서울시-충남도-보령시-SH공사-충남개발공사, 골드시티 업무협약(MOU)’ 체결 - 인구소멸위기지역 활성화, 국토 균형 발전, 서울 도시주거문제 등 동시 해소에 기여 전망 - 김헌동 사장 "지역과 협력해 도시 인프라, 일자리 환경 등 고루 갖춘 도시 조성할 것”

2024-07-17     김의철
우측부터 김헌동 사장, 오세훈 시장, 김태흠 도지사, 김동일 시장, 김병근 사장이 업무협약식을 갖고 기념촬영하는 모습 [사진=SH]

서울시와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 김헌동)가 '골드시티(서울-지방 상생형 순환도시조성사업)'를 전국적으로 확산하기 위한 노력에 적극 나서고 있다. 

SH공사 관계자는 "동해의 강원도 삼척에 이어 서해의 충청남도 보령시에서 두 번째 '골드시티'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라며 "서울시, 충청남도, 보령시, 충남개발공사와 '골드시티'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김태흠 충남도지사, 김동일 보령시장, 김헌동 SH공사 사장, 김병근 충남개발공사 사장이 참석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5개 협력기관은 인구소멸 위기 지역 활성화와 서울 도시 주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충남 보령에서 '골드시티'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들 기관은 충남 보령 등 '골드시티' 후보지 조사 및 선정, 협약기관별 역할 분담 및 실무협의체 구성·운영, '골드시티' 효과분석 공동연구 추진 등의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SH공사는 은퇴자 및 지방 거주를 희망하는 청장년층을 위해 청정 자연환경과 병원, 대학, 문화·여가 등 의료, 교육 및 문화 접근성이 좋은 지역에 '골드시티'를 조성한다. 이주자가 건강, 취미와 여가생활, 평생교육 등을 누리면서 사회·경제활동이 가능하도록 서울과 유사한 인프라를 갖춘 도시를 구상하고 있다.

이를 통해 은퇴자와 지방 이주를 희망하는 청·장년층이 저렴한 주거비로 여유로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지방의 고품질 주택 및 도시 인프라를 조성해 기존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일자리 조성, 여가·문화·레저시설 확충 등을 통해 인구 유입과 지역 활성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또한 이주자가 보유한 서울의 기존 주택은 이주자의 선호에 따라 유동화 또는 임대를 통해 노후 자금 마련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모색 중이며, 이주 후의 기존 주택은 공공에서 매입 또는 임차해 직장인, 신혼부부 등에 재공급하는 공적 활용 방안도 검토 중이다.

한편 ‘골드시티’는 지방 이주를 희망하는 청년이나 유학생, 은퇴자 등 서울시민에게 자연과 도시 인프라를 갖춘 지방 도시 내 주택을 제공하고 이들이 보유한 주택은 청년 또는 신혼부부에게 재공급하는 서울-지방 상생형 순환도시조성사업이다.

‘골드시티’는 앞서 지난 2022년 7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싱가포르 출장길에서 은평혁신파크에 골드빌리지 검토를 지시한 후 지난해 11월 8일 오세훈 시장, 김진태 강원도지사, 삼척시, 강원개발공사, SH공사 간 협약을 시작으로 강원도 삼척에서 시범사업을 추진 중이다.

SH공사는 골드시티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법·제도 개선 및 관계 기관 협의를 통해 사업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국토의 균형 발전과 효율적인 활용을 위해 서울-지방 동반성장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서울시민과 지역 주민은 물론, 청·장년층이 함께할 수 있도록 지자체 등과 협력해 도시 인프라와 일자리 환경 등을 고루 갖춘 제2, 제3의 서울 같은 도시를 조성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