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수 회복 위한 부문별 맞춤형 처방 발표...중소기업 임시투자세액공제 1년 연장 등

- 투자 활성화, 건설 경기 보완, 취약계층 맞춤형 금융지원 등 내수 회복 방안 논의

2024-10-02     김의철
최상목 경제부총리 [사진=기재부]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일 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내수 회복을 촉진하기 위한 '부문별 맞춤형 처방' 계획을 발표했다.

정부는 내수 회복 속도가 부진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별 맞춤형 대책을 통해 내수 회복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이번 회의에서는 ▲투자 활성화 ▲건설 경기 보완 ▲취약계층 맞춤형 금융지원 등 내수 회복을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다.

특히 중소·중견기업의 임시투자세액공제를 내년까지 1년 연장하고, 하반기 공공기관 8조원 추가투자와 향후 5년간 민간투자 30조원 확대를 통해 건설 수주 부진을 보완할 계획이다.

또한, 핵심 건설자재 수급 안정화를 통해 내년과 2026년 공사비 상승률을 2% 내외로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내구재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다자녀 가구의 전기차 보조금을 11월부터 확대하고, 지방 소비 활성화를 위한 소비촉진 프로그램을 비수도권 중심으로 재설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취약계층을 위해 소액 채무 면제제도를 신설하고, 소상공인 경영 부담 완화를 위한 새출발기금 지원도 차질 없이 이행할 방침이다.

정부는 또한, 배추 수급 안정을 위해 1만톤 추가 공급과 할당관세 연장 등의 방안을 추진해 물가 안정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

최 부총리는 "최근 중동 지역의 긴장 고조로 인한 금융시장 및 실물 경제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신속히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발표는 내수 회복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앞으로 다양한 경제 활성화 조치들이 실행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