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CPA, 2차 회의서 발언권 제한… 당사자 없는 새벽배송 논의
- 쿠팡 대리점·기사 “당사자 빠진 새벽배송 논의 무의미”… 반발 커져 - 쿠팡 기사 2,405명 중 93% ‘새벽 배송 금지 반대’ - 3차 회의 앞두고 대화주체 확대될까 관심
[뉴스로드] 택배 사회적 대화가 '새벽배송' 논의에 막혀 공회전하는 가운데 일선 현장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새벽배송 당사자인 대리점·택배기사 의견이 배제된 채 '탁상공론'이 지속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쿠팡CLS(쿠팡로지스틱스서비스) 쿠팡택배(퀵플렉스) 대리점으로 구성된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쿠팡 벤더사 100여개사가 모여 조직한 대표 단체로 1만명이 넘는 쿠팡 퀵플렉스 종사자들이 속해있다.
CPA는 새벽배송 당사자인 쿠팡 대리점이 빠진 채로 새벽배송을 논의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CPA는 지난달 사회적 대화 출범 당시 초대 받지 못했다. 지난 5일 열린 2차 회의에는 배석했으나 발언권이 제한됐다고 주장한다.
현재 사회적 대화 기구에서 택배 대리점 입장을 대변하는 단체는 한국생활물류택배서비스협회다. CPA 또한 협회 회원사 자격으로 2차 회의에 참석했다.
하지만 해당 협회는 쿠팡 외에도 CJ대한통운, 한진, 롯데글로벌로지스, 로젠 등 일반 택배사도 회원사로 두고 있으며, 한진·롯데 등은 새벽배송을 정식으로 운영하지 않고 있다.
신호룡 CPA 회장은 “현재 협회가 쿠팡 대리점의 입장을 최대한 대변해 주고 있으나, 핵심 의제가 ‘새벽배송’이다 보니 실제 현장을 운영하는 당사자의 세부 상황과 경험을 모두 반영하기에는 아무래도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말하며, “이에 직접적인 당사자인 CPA가 회원사 자격을 넘어 독립된 논의 주체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밝혔다.
CPA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제안한 '0~5시 배송 금지' 제안에 반대 의사를 밝히고 있다. CPA가 쿠팡 야간 택배기사 24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93%가 새벽배송 제한을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CPA는 현장 기사 탄원서도 준비하고 있다.
노조에 속하지 않은 기사들도 대화 참여를 지속 요구할 계획이다. 약 6000여 명의 택배 기사가 가입한 '비노조 택배 연합'도 사회적 대화 참여가 거부된 상태다. 연합은 쿠팡 직고용 배송 기사 노조인 '쿠팡노조'와도 소통하고 있으며 향후 CPA와도 연대해 참여를 촉구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는 28일 세 번째 전체 회의가 열리는 가운데 사회적 대화 논의 주체가 확장될 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