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대학교 최웅철 교수가 13일 열린 모빌리티포럼 세미나에서 발언하고 있다. / 사진=유튜브 이원욱 의원실 채널 캡처

[뉴스로드] 모빌리티업계가 자율주행 등 관련 기술 개발에 데이터 확보가 절실하다며 정부의 지원을 촉구했다. 모빌리티란 도보·자전거·버스·열차·선박·항공기 등에 의존한 이동과 화물의 운송 및 관련 정보의 흐름을 의미한다.

국회 모빌리티포럼이 ‘모빌리티 패러다임 전환과 산업계 영향’을 주제로 13일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국토교통부·산업통산자원부·업계·학계 인사들이 참여했다 이들은 최근 자동차와 정보기술이 융합된 자율주행·신교통수단 등의 출현으로 생긴 업계 생태계 변화에 따른 입법 방향성을 논의했다.

◇학계 “코로나19 사태 기점으로 모빌리티 산업 탄력”

발제를 맡은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과 최웅철 교수는 “최근 모빌리티 패러다임은 소유에서 공유로, 고정된 장소에서 내 집 앞으로, 정해진 시간에서 필요한 시간으로 전환되고 있다”며 말문을 열었다. 최근 활성화되고 있는 카셰어링 서비스를 의식한 듯 보인다.

최 교수는 ‘공유 퍼스널 모빌리티’의 발전에도 주목했다. 코로나19 사태 전후, 대중교통 이용량은 눈에 띄게 변화하고 있다. 지하철과 버스 이용량은 올해 1~4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35.1%, 27.5% 감소했다. 반면 서울시 공유자전거 ‘따릉이’는 같은 기간 대여 건수가 57% 증가했다. 

최 교수는 이러한 현상이 나타난 이유에 대해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과 접점이 없는 새로운 이동수단의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도 코로나19 사태를 기점으로 탄력 받을 것으로 내다봤다. 수요응답형 모빌리티는 농어촌·신도시 등 대중교통 시스템이 취약한 지역의 교통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고안된 이동수단이다. 일반 대중교통과 달리, 정해진 노선 없이 승객이 부르는 곳으로 운행하는 것이 특징이다.

최 교수는 이러한 패러다임의 기초는 ‘초연결’이라고 강조했다. IT·이동통신 기술이 모빌리티 발전의 기반이 된다는 것이다. 현재 기업들이 연구 중이면서 초연결이 핵심인 서비스로는 자율주행자동차와 무인항공기시스템 등도 있다.

◇모빌리티업계 “자율주행산업 발전, 정부 역할 중요”

이날 열린 모빌리티포럼 세미나에서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 유시복 센터장이 발언하고 있다. / 사진=유튜브 이원욱 의원실 채널 캡처

한국자동차연구원 자율협력주행연구센터 유시복 센터장은 자율주행차 기술동향을 소개하고, 산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 제언했다.

유 센터장은  “본격적인 자율주행 산업은 데이터와 서비스 확산이 핵심”이라며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지원하는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자율주행에 필요한 데이터는 민간과 공공이 나눠 수집하고 있다. 이동통신사는 ‘보행자 위치’, 완성차업계는 ‘차량 위치’, 경찰청은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식이다.

이에 대해 유 센터장은 “자율주행 서비스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 데이터들을 민간과 정부가 공유할 수 있는 생태계가 마련돼야 해,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여러 데이터가 결합돼야만 비로소 기능을 하기 때문에, 정부가 기업들 사이에서 중간다리 역할을 해야 한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정부는 업계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박재영 제조산업정책관은 “자율주행차 분야는 새롭게 성장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산업의 정의부터 관련 지원방안도 기존 산업과 별도로 검토돼야 할 것”아라며 “특히 시범운행이나 인증 분야도 별도의 트랙이 요구되는데, 규제 완화 및 육성 법안에 대해 법제화를 목표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모빌리티업계가 상용화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필요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국토부 윤진환 자동차정책관은 “화성시에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자율주행 테스트베드 공간을 만들어 2019년 3월 개방했다”며 “데이터 수집 차량 대여료도 일반기업은 1시간당 40만 원이지만, 중소기업에는 무상으로 제공 중”이라고 소개했다.

윤 정책관은 이어 “또한 혁신성장지원센터를 통해 기업들이 상주하면서 테스트 충분히 하고 기술개발할 수 있도록 내년까지 준공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정부는 국토부가 주관하는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를 올해 안에 신설할 계획이다. 현재 모빌리티는 과기정통부가 전담하는 ICT 규제샌드박스에서 처리하면서 유관부처인 국토부와 협의하는 분야다. 모빌리티 규제샌드박스가 도입되면 실증특례 및 규제 완화에 따라 스타트업의 시장 진출이나 관련 기술 개발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