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건설 [사진=연합뉴스]
아파트 건설 [사진=연합뉴스]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의 금융권 대출 잔액이 130조원에 육박하고 연체율도 1년 새 급등하자, 금융당국이 전수조사를 통한 점검과 맞춤형 대응 강화에 나섰다.

지난해 레고랜드 및 흥국생명 사태처럼 현안이 터져 나올 경우 금융권 전체가 요동칠 수 있어 금융시장이 동원할 수 있는 모든 선제 대비책을 펼치는 분위기다.

지난 9일 금융감독원이 국민의힘 윤창현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금융권의 지난해 말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2021년 말 112조 6천억원 대비 17조 3천억원 증가한 129조 9천억원이었다.

금융권의 부동산 PF 연체율도 지난해 말 1.19%로 전년 말과 비교해 0.82%p 증가했다.

은행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이 6조 8천억원, 보험사가 2조 3천억원, 여신전문금융사가 7조 3천억원, 저축은행이 1조원 늘었다.

이 기간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증권사가 6.67%, 여신전문금융사가 1.73%p, 보험사가 0.53%p 급증했다.

금융당국은 증권사와 여신전문금융사의 연체율이 높지만 pf 연체 대출 규모 및 자기자본 대비 비율 등을 고려했을 때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했다.

작년 말 기준 증권사의 PF 대출 연체액은 5천억원으로, 자기자본 대비 비중이 0.7%에 불과했다. 여신전문금융사도 연체액이 6천억원으로 1.4% 수준이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과거 위기 시 도입된 부동산 PF 대출 규제 등으로 연체가 특정 증권사나 여전사에 집중돼 있지 않다"면서 "개별 금융사에 대한 충당금 적립 등 손실 흡수능력 제고와 유동성 확보도 집중적으로 점검하고 있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정책금융기관 등을 동원해 부동산 PF 사업장을 전수조사해 이상 징후가 없는지 모니터링하고 PF 사업장에 맞는 맞춤형 대응에 나서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최근 금리 인상 과정에서 부분적 또는 국지적으로 PF 대출에 대한 원리금 미상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PF 사업장을 밀착 모니터링하고 금융사의 손실 흡수능력을 강화하도록 하는 등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되지 않도록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사·증권사가 보증하는 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의 원활한 차환을 지원하고 있다.

브릿지론을 PF로 전환하기 위해 15조원의 사업자 보증을 공급하며, 단기 형태의 PF-ABCP를 보증부 장기 대출로 전환하기 위해 3조원의 사업자 보증을 신설해 공급하도록 지원한다.

사업성 우려 사업장은 모든 금융권이 참여하는 PF 대주단 협약을 이달 중에 가동하고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을 통해 사업 재구조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부실 확대를 대비해 채권은행이 건설사의 PF 사업장 위험, 유동성 위험 등을 충분히 반영해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하도록 하고, 부실 우려가 있는 건설사에 대해서는 선제적인 경영 정상화를 추진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전국 부동산 PF 사업장 300∼500곳을 중요 관리 대상 사업장으로 지정했다면서 "해당 사업장의 경우 세밀한 관리를 통해 시스템 위험을 초래하지 않도록 관리를 해야 한다는 의미에서 챙겨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그동안 고수익을 노리고 상가, 오피스텔 등 고위험 상업용 부동산에 PF 대출을 해주고 높은 수수료를 거둬왔다가 어려움에 처하자 금융당국에 의존하고 있는 일부 중소 증권사에 대한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은 "일부 증권사들이 금리 급등기를 거치면서 부동산 PF의 부실이 확인됨에 따라 현재는 금융당국의 정책적 지원, 대형 증권사의 자금 지원에 의존하면서 전형적인 도덕적 해이를 보이고 있다"면서 "금융 시장 불안이 해소되면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할 행태"라고 지적했다.

[뉴스로드] 이다혜 기자 ekgp8089@newsroa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