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공사 장기운송 맡은 핵심 국적선사… 해외 매각 시 LNG 적취율 급락 가속
-정부 국정과제 ‘국적선 이용률 70% 유지’와도 정면 충돌

[사진=최지훈 기자]
[사진=최지훈 기자]

국내 최대 LNG·LPG 전문 수송선사인 현대LNG해운이 해외 자본에 매각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국가 에너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다.

26일 한국해운협회(회장 박정석)에 따르면, 현대LNG해운의 모기업 IMM프라이빗에쿼티와 IMM인베스트먼트가 최근 인도네시아 대형 복합기업 시나르마스(Sinar Mas) 그룹 계열사와 지분 매각을 논의 중이며, 주식매매계약(SPA) 체결을 앞둔 것으로 확인됐다.

현대LNG해운은 LNG 전용선 12척, LPG 전용선 6척을 보유한 국내 최대 액화가스 전용 운송선사다. 특히 한국가스공사(KOGAS)와 장기 운송계약을 맺고 있으며, LNG 수급의 근간을 담당해온 핵심 국적선사이기도 하다.

문제는 이번 매각이 성사될 경우, 수십 년간 축적된 LNG 수송 운항기술·정보자산, 가스공사가 보유한 장기계약 수송권, LNG 운송 네트워크 등 국가 핵심자산이 해외로 유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LNG는 국가 에너지 안보의 핵심 품목이며, 운송사 변경은 ‘선박’의 문제가 아니라 공급망 전체 구조가 흔들리는 사안이라는 것이 업계의 시각이다.

심각한 경고는 LNG 적취율 전망치에서 드러난다. 국적선사의 LNG 적취율은 2024년 38.2%, 2029년 12%, 2037년에는 0%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와 있다. 여기에 가스공사의 핵심 운송 파트너인 현대LNG해운까지 해외에 넘어간다면 이 하락 속도는 더욱 가팔라질 수밖에 없다. 결국 한국은 핵심 에너지 수송을 해외 선사에 의존하게 되고, 국가 유사시 안정적 수급체계가 붕괴될 위험이 커진다.

재난·전쟁·공급망 붕괴 상황에서 국적선사가 맡는 LNG 수송의 가치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다. 업계 관계자는 “LNG 수급은 국가 생존 문제”라며 “운송·적취 인프라를 외국 기업에 넘긴다는 것은 에너지 안보의 ‘근간’을 포기하는 것과 같다”고 지적한다.

현대LNG해운의 해외 매각은 정부 정책 방향과도 명백히 충돌한다. 현 정부는 국정과제에 ‘핵심 에너지 운송 국적선 이용률 70% 이상 유지’, ‘선박의 해외 매각 방지’를 명시했다. LNG 해상운송 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기조의 핵심이 바로 국적선사의 유지를 통한 공급망 안정성 확보였다. 그런데 정작 국내 유일한 대형 LNG·LPG 전문 운송기업이 해외로 넘어간다면 정부 정책은 방향성을 잃을 수밖에 없다.

해운업계는 이번 사안을 “에너지 안보 주권의 문제”라고 규정했다. LNG 수송은 단순 운송이 아니라, 국가 전략자산에 해당한다는 점에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글로벌 공급망 충격 속에서 핵심 에너지 수송 능력은 국적선사가 유지해야 한다”며 “현대LNG해운의 해외 매각은 명백히 에너지 안보 리스크를 키우는 선택”이라고 평가한다.

현대LNG해운은 국적선사로 남아 있어야 한다는 요구가 힘을 얻고 있다. 국내 최대 액화가스 수송선사의 해외 유출은 단순한 기업 거래를 넘어, 국가경제와 에너지 안보의 최후 보루가 흔들리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뉴스로드] 최지훈 기자 jhchoi@newsroad.co.kr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