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니 총리에 이어 졸리 ISED 장관 거제조선소 방문… CPSP 본심사 국면
-캐나다 “성능·납기뿐 아니라 산업·공급망·기술 이전이 핵심 평가 기준”
캐나다의 60조원대 잠수함 사업(CPSP)의 결정적 영향력을 가진 멜라니 졸리(Mélanie Joly) 캐나다 혁신·과학·경제개발부(ISED) 장관이 24일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찾으며 K-해양방산의 수주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지난달 30일 방한한 마크 카니(Mark Carney) 총리에 이어, 캐나다 정부 실무 책임자급의 연속 방문이라는 점에서 주목도가 높다.
졸리 장관은 최근 진수된 ‘장영실함’을 시찰하며 ‘장보고-Ⅲ 배치(Batch)-Ⅱ’의 성능과 한화오션의 실제 생산 능력을 직접 확인했다.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 등 경영진은 졸리 장관에게 캐나다 측에 제안한 장보고-Ⅲ 배치-Ⅱ 플랫폼의 구조와 건조 공정을 설명했다. 여러 척이 동시에 건조 중인 거제 조선소 현장은 이미 지난달 카니 총리로부터 “세계를 잇고 지켜내는 훌륭한 기업을 만들었다”는 극찬을 받은 바 있다. 졸리 장관 역시 동시 건조 역량과 일정 준수 능력 등 경쟁사를 압도하는 생산 체계를 직접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캐나다 산업부(ISED)는 산업 전략·공급망·첨단 기술 투자·지역 일자리 창출을 총괄하는 핵심 부처로, 카니 정부가 내세운 ‘경제안보 중심 국가 전략’을 사실상 설계·집행하는 컨트롤타워다. CPSP 사업이 단순한 방위력 보강을 넘어, 캐나다가 새롭게 구축하려는 산업·기술 생태계와 경제안보 전략의 중추 사업으로 재정의되면서, 졸리 장관의 이번 방문은 제안 국면의 방향성을 가르는 주요 분기점으로 평가된다.
당초 졸리 장관은 카니 총리와 동행할 예정이었으나 일정 문제로 무산됐고, 이번에 별도 방문을 택했다. 이는 캐나다 정부가 CPSP 사업의 평가 단계에서 정치적 신뢰를 바탕으로 한 ‘1단계’ 평가를 넘어, 산업·기술·경제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2단계 본심사’에 돌입했음을 상징한다.
캐나다 정부는 잠수함 도입 시 성능뿐 아니라 자국 내 유지보수 역량, 산업 참여(Industrial Benefits), 공급망 구축, 기술 이전 범위, 지역 경제 기여도 등을 핵심 평가 기준으로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졸리 장관 역시 여러 공식 발언에서 “CPSP는 캐나다 경제·기술 생태계의 미래를 결정할 대형 프로젝트”라며 실질적 산업 참여를 보장하는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조해 왔다.
한화오션은 카니 총리 방한 당시 장보고-Ⅲ 배치-Ⅱ의 성능과 납기 능력, 확장성 등을 설명하는 한편, 캐나다의 전략적 관심 분야를 고려한 한화그룹 차원의 광범위한 협력 구상을 제시했다. 방산·우주·지속가능 에너지·핵심 광물 공급망 등 분야에서 장기적 파트너십 구축 의지를 명확히 밝힌 것이다.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는 “졸리 장관의 방문은 한화오션의 제안이 본격적인 경쟁 단계로 진입했음을 의미한다”며 “한화오션은 캐나다 해군의 요구 조건을 충족할 최적 솔루션을 제공함과 동시에, 캐나다가 원하는 속도·규모·기술 이전·산업 공급망 구축을 실질적으로 이행할 수 있는 ‘신뢰 가능한 파트너’임을 강조했다”고 말했다.
[뉴스로드] 최지훈 기자 jhchoi@newsroa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