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국 1만5000개 의료시설 연결… 느린 물류 대체하는 ‘첨단 로봇 기반 보건망’ 구축
-부채 기반 中 인프라 수출 견제… “America First 글로벌 헬스 전략의 핵심 축”
미국 정부가 아프리카 대륙 전역에 1억5000만 달러 규모의 드론 기반 의료 공급망을 구축하는 초대형 프로젝트를 공식화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America First Global Health Strategy(미국 우선 글로벌 보건 전략)’를 전면에 내세우며 AI·로봇·자율물류 기술을 외교정책 핵심 자산으로 격상한 첫 사례여서 주목된다.
미 국무부는 25일(현지시각) 미 로봇물류 기업 ‘Zipline International’에 대한 최대 1억5000만 달러 지원 계약을 발표하고, 이 자금을 바탕으로 코트디부아르·가나·케냐·나이지리아·르완다 등 5개국, 최대 1만5000 곳의 의료시설에 혈액·의약품 등 긴급 의약품을 신속 배송하는 국가 단위 의료 네트워크를 구축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단순한 원조가 아니다. 국무부는 발표에서 “Zipline의 미국산 첨단 로봇 기술이 열악한 인프라와 느린 물류에 고통받는 농촌 지역에 ‘생명을 구하는 의료품’을 실시간으로 전달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프리카 파트너국과는 마일스톤 기반 지불, 공동 자금조달 방식을 채택해 프로젝트 지속성과 현지 정부의 참여도를 높인 것도 특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 협력을 “새로운 시대의 보건 외교”라고 규정했다. AI·로봇·자율 물류 기술을 해외 보건 인프라와 결합해 감염병 대응력을 높이고, 동시에 미국 내 고용과 첨단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이중 목표를 노리는 방식이다. 국무부는 “이번 협력은 미국과 아프리카 전역에 일자리를 만들고, 전염병 확산을 줄임으로써 미국의 안전에도 기여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번 프로젝트는 중국의 ‘부채 기반 인프라 수출(BRI)’에 대한 직접적 견제 성격도 갖는다. 국무부는 성명에서 “미국의 전문성은 아프리카 인프라 투자에서 가장 우선시되는 요소이며, 이번 합의는 부채로 자금을 조달하는 대체 인프라 수출에 대응한다”고 명확히 못 박았다. 중국이 아프리카 곳곳에서 추진해 온 차관 기반 인프라 전략을 미국의 기술·민관 협력 모델로 대체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미 정부는 이 협력을 성공 사례로 확장할 계획이다. 국무부는 “AI·로봇·자율 기술을 활용한 혁신적 보건 성과가 글로벌 헬스 전략의 중심”이라며 이번 프로젝트를 ‘America First 글로벌 헬스 전략’의 대표적 모델로 제시했다.
미국의 글로벌 공급망 전략, 기술 패권 경쟁, 감염병 대응 외교가 한꺼번에 교차하는 이번 프로젝트는 향후 아프리카 개발정책뿐 아니라 미국의 첨단 기술 외교의 방향성과도 직결될 전망이다.
[뉴스로드] 최지훈 기자 jhchoi@newsroad.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