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분기초 부진과 파업·조기휴가 따른 자동차 생산 차질 영향에 광공업 -3.6%
- 건축 0.9% 상승에도 토목-8.9% 건설기성 부진
- 기재부 "추석 민생안정대책 등 경기회복세 확산에 총력 다할 것"

최상목(가운데) 경제부총리가 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사진=기재부]
최상목(가운데) 경제부총리가 경제장관회의를 주재하는 모습 [사진=기재부]

지난달 국내 서비스업과 설비투자는 활기를 되찾고 있으나, 광공업과 건설업은 여전히 울상을 지으며 경기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획재정부가 30일 발표한 '2024년 7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설비투자(10.1%)과 서비스업(0.7%)은 상승했으나, 광공업(-3.6%)과 건설업(-1.7%)의 부진으로 전체 산업생산(-0.4%)은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월 생산 동향 [표=기재부]
7월 생산 동향 [표=기재부]

기재부는 "7월 전산업 생산은 전월 대비 0.4%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0.7% 상승하며 두 달 연속 증가했으나, 광공업은 3.6% 감소하며 일시적인 조정을 겪었다"며 "건설업 생산도 1.7%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특히, 반도체 분기초 영향과 파업과 조기휴가로 인한 자동차 생산 차질이 광공업의 감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는 일시적 요인으로 분석됐다. 

7월 지출 동향 [표=기재부]
7월 지출 동향 [표=기재부]

지출 측면에서는 설비투자가 운송장비 부문의 50.5% 증가하면서 전월 대비 10.1% 상승했다. 중대형 항공기 8대가 도입된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소매판매는 1.9% 감소하며 지난달의 상승세를 이어가지 못했다.

건설투자는 토목(-8.9%) 부문의 부진으로 1.7% 축소됐다. 다만, 건축업은 0.9% 증가하며 회복 기미를 보였다. 

정부는 "이번 산업활동에서 보인 내수 부문별 회복 속도의 차이에 주목하며, 국내 관광 활성화, 소비촉진을 위한 세제지원, 건설투자 보강 등 내수 회복 가속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신속히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를 위해 "국내관광 붐업, 소비촉진 3종 세제지원, 건설투자 5조원 보강, 투자활성화 대책 마련 등 내수 회복 가속화를 위한 추석 민생안정대책의 주요 정책들을 속도감있게 추진하는 등 경기 회복세 확산에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키워드

#기재부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