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 김헌동)가 동남권 유통단지 조성사업의 자산가치 분석 결과, 보유 자산의 가치 상승으로 현금 수지가 2조4721억원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SH공사는 지난해 말 기준 동남권 유통단지의 현금 수지가 –1016억원으로 집계됐으나, 공사가 보유한 복합물류단지 토지와 가든파이브 상가 2852호의 자산 가치를 반영하면 사업 수지가 총 2조3705억원에 이를 것이라고 14일 밝혔다.

SH공사의 동남권 유유통단지 개요 [사진=SH]
SH공사의 동남권 유유통단지 개요 [사진=SH]

▲동남권 유통단지: 복합물류단지와 가든파이브로 구성된 사업 구조

동남권 유통단지는 복합물류단지, 가든파이브, 그리고 활성화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복합물류단지는 SH공사가 조성한 토지를 서울복합물류PFV에 임대 운영되는 시설로, 2015년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프로젝트 파이낸싱(BOT 방식)으로 추진했다.

SH공사는 이 프로젝트에 약 100억원의 지분(19.9%)을 출자하고 14만7112㎡의 토지를 PFV에 임대하하는 방식으로 참여했다.

가든파이브는 SH공사가 직접 상가 8370호를 건설해 분양 및 임대를 진행한 복합상업시설이다. 현재 SH공사는 이 중 2852호(34%)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 시설은 ‘LIFE’, ‘TOOL’, ‘WORKS’ 등 판매·문화시설, 창고시설, 아파트형 공장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활성화단지는 SH공사가 토지를 조성하여 민간에 매각하는 방식으로 추진되었으며, 민간사업자는 해당 토지에 업무시설 및 복합시설을 건설해 사업을 진행했다.

SH "동남권 유통단지 총 자산 가치 5.4조원 달해"

SH공사는 사업 방식의 변화를 가정해 각 사업별로 현금 수지 변화를 분석했다. 동남권 유통단지 전체 자산을 공사가 현재 시점에 모두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 자산 가치는 5조3775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가든파이브의 경우, 현재 시점에서 다시 건설할 경우의 사업비가 과거 1조3206억원에서 3조6956억원으로 대폭 증가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공사의 자산 가치를 더욱 중요하게 부각시키는 결과다.

또한, 활성화단지의 경우 민간에 매각하지 않고 SH공사가 토지를 보유한 채 PFV 등에 임대하는 방식을 가정했을 때, 자산 가치 상승으로 사업성이 6248억원에서 9120억원으로 향상될 것으로 나타났다.

▲김헌동 사장 "다양한 사업 방식 도입 통한 도시 경쟁력 강화"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향후 용산 국제업무지구 등 신규 사업 추진 시, 기존의 일률적인 분양·매각 방식에서 탈피할 것"이라며 "서울의 도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사업에 참여하고, 동남권 유통단지 사례와 같이 유동성과 자산 가치 상승을 고려한 직접 건설, 매각, 자산 보유(임대) 등 다양한 방식을 혼용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SH공사가 단순 매각이 아닌 자산 보유 및 임대 방식을 통해 장기적으로 도시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키워드

#김헌동
저작권자 © 뉴스로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