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공사 사장, 선거 1년 전부터 공기업 혁신 논의... 도시계획학 박사 김현아 전 의원조차 낙마"
"당시 서울시의회, 110석 중 102석 더불어민주당 차지... 청문회 거쳤어야"
최근 오세훈 서울시장과 명태균·김영선 전 의원 측의 진실 공방이 이어지는 가운데, 김헌동 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사장이 관련 의혹에 대해 강력히 반박해 주목된다. 김 전 사장은 20여년 이상 시민운동을 하면서 '국민의 알 권리'를 남달리 강조했던 인물이어서 그의 말에 무게가 실린다.
김헌동 전 사장은 27일 <뉴스로드>와의 통화에서 "오세훈 시장이 김영선 전 의원에게 SH공사 사장 자리를 약속했을 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밝혔다.
김 전 사장은 "SH공사는 실제 자산 운용 규모가 100조원을 넘는 서울시 산하 최대 공기업이며, 특히 당시 박원순 시장과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이 초미의 관심사였던 만큼, 명태균 씨 측에서 SH공사 사장직을 제안했을 가능성은 있을지 몰라도, 서울시정 경험이 있고 부동산 정책에 상당한 이해도가 있는 오 시장이 그 같은 제안을 수용하거나, 약속했을 가능성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이어 "SH공사 사장에 비전문가가 임명된 적은 단 한번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는 오 시장이 판사 출신 정치인인 김영선 전 의원에게 SH공사 사장 자리를 맡길 가능성은 없었다는 것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전 사장은 또한 "당시 SH공사 사장직은 지방공기업 수장으로서 개혁과 혁신이 시급했던 시기였으며, 전문성은 물론 개혁이 중요한 시점이었다"면서 "오 시장이 정치적인 이유로 비전문가를 사장직에 임명할 가능성은 없었다"고 거듭 밝혔다.
김 전 사장은 SH공사 사장 임명 과정도 여당과 관료의 반대로 결코 간단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며, 과거 김현아 전 의원의 사례를 언급했다. 그는 "SH공사 사장은 서울시의회의 청문회를 거쳐야 하는데, 실제로 2021년 김현아 전 의원이 다주택 보유 논란으로 인해 낙마한 바 있다"면서 "김현아 전 의원은 도시계획학 박사라는 전문성을 갖추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의회에서 반대가 심해 낙마했다. 당시 서울시의회는 총 110석 중 102석을 더불어민주당이 차지하고 있었고, 부동산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였던 만큼, 정치적 논란이 큰 인사가 임명되기 어려운 환경이었다"고 짚었다.
그러면서 "그런 상황에서 오 시장이 김영선 전 의원에게 SH공사 사장직을 약속했을 가능성이 있었겠느냐"고 반문했다.
김 전 사장은 20여 년간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에서 '아파트값 거품 빼기 운동본부 본부장', '부동산건설개혁본부장' 등을 맡아 국내 부동산 개혁을 주도한 대표적인 시민운동가다. 그 이전에는 20여년 간 쌍용건설에서 건설현장, 기획, 감사 업무를 두루 거친 건설전문가이기도 하다.
그는 SH공사 사장으로 재직하는 동안 이같은 경험을 바탕으로 '분양원가 공개', '후분양제 도입', '직접 시공제 시행', '적정 임금제 적용', '자산 공개', '토지임대부 건물분양', '장수명 아파트 도입' 등 오랜 기간 국내 건설업계의 숙원이었던 10가지 이상의 혁신 정책을 실현한 바 있다. 이같은 성과에 힘입어 행정안전부 주관 2023년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고객만족도 조사에서 전국 도시개발공사 중 상승률 1위를 달성하는 등 탁월한 평가를 받은 바 있다.
그는 "SH공사 사장은 서울의 주택 정책 실행을 위한 요직이며, 정치적 거래의 대상이 될 수 없는 막중한 책임을 지는 자리"라며 "(내가) 당초 사장직을 제안받고도 세 번을 고사했지만, 부동산 문제의 중요성과 심각성을 강조한 오 시장에게 결국 설득당해 지원서를 제출했다. 그리고 SH공사의 혁신적인 정책에 대해 오 시장이 전권을 맡겨 준 덕분에 나름의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부연했다.
앞서 명태균 씨의 법률대리인 남상권 변호사는 24일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오 시장이 202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김영선 전 의원과 명태균 씨가 함께한 자리에서 '김영선 의원이 도와주면 SH공사 사장 자리를 주겠다'고 말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나 이에 대해 오 시장 측은 "완전한 거짓말"이라며 강력히 반박한 바 있다.
